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

이용수 9

영문명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Jukryeong Wetland,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발행기관
국립공원연구원
저자명
박정원(Jung Won Park)
간행물 정보
『국립공원연구지』제15권 제1호, 32~4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백산국립공원의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2022년과 2023년에 수행하였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93 종류로, 8 분류군으로 구성되었고, 이들 분류군 중에서 유글레나조류가 66 종류, 녹조류가 62 종류, 윤조류 26종류가 출현하여분류군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분류군이었다. 녹조류와 윤조류는 현존량은 춘계에 가장 높고 하계에 가장 낮았으며 추계에 다시 증가하는 천이를보였다. 유글레나조류의 현존량은 2022년에 비해 2023년에 약 5.8배 정도 증가하였다. 환경요인과 녹조류의 상관관계에서 수온(r=0.12), pH (r=0.05), EC (r=0.18)는 유효성은 있었으나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다. 윤조류는 pH (r=-0.4), EC (r=0.39), 유글레나조류는 수온(r=0.66)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우점종은 Aphanocapsa delicatissima, Dictyosphaerium pulchellum, Dictyosphaerium ehrenbergianum, Trachelomonas volvocina 등 이었다. 우점종중 Tr. volvocina는 2년간 지속적으로 우점종 및 아우점종으로 출현한 유일한종이며, 수온(r=0.76)과 pH (r=0.74)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기존 연구의 비교에서, 녹조류는 과거에 비해 출현종수가 급격한 증가하였고, 유글레나조류 및 규조류는 과거 출현하지 않았던 분류군으로 새롭게 출현하였으며, 윤조류는 과거 출현한 종이 다른 종으로 대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죽령습지의 수체내 환경이 인위적이든 자연적인든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22 and 2023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the Jukryeong Wetland of Sobaeksan National Park. A total of 193 phytoplankton species composed of eight taxa were found. Among these, 66 species of Euglenophyta, 62 species of Chlorophyta, and 26 species of Charophyta were identified, making them the most important taxa among the taxonomic groups. The abundances of Chlorophyta and Charophyta were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summer and then increased again during fall. The total standing crops of Euglenophyta will increase by approximately 5.8 times in 2023 compared to 2022.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hlorophyta, water temperature (r = 0.12), pH (r = 0.05), and EC (r = 0.18)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very low. Charophyta was highly correlated with pH (r = -0.4), EC (r = 0.39), and Euglena algae with water temperature (r = 0.66). Charophyta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pH (r = -0.4) and EC (r = 0.39), while Euglenophyta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water temperature (r = 0.66). The dominant species were Aphanocapsa delicatissima, Dictyosphaerium pulchellum, Dictyosphaerium ehrenbergianum, and Trachelomonas volvocina. Among the dominant species, Tr. volvocina was the only species that consistently appeared as a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for two years a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r = 0.76) and pH (r = 0.74). In a comparison of existing studies, the number of Chlorophyta species has increased rapidly compared to the past, Euglenophyta and Bacillariophyta have appeared as taxa that did not appear in the past, and species that appeared in the past have been replaced by different species of Charophyt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water environment of the Jukryeong Wetland, either artificially or naturally.

목차

서론
조사기간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Jung Won Park). (2024).소백산국립공원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 국립공원연구지, 15 (1), 32-42

MLA

박정원(Jung Won Park).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 국립공원연구지, 15.1(2024): 3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