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을 경험한 저소득층 고등학생의 진로개척역량 전이 양상과 심리·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27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ransition Pattern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Low-Income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Mentoring Scholarship Program an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and Social Capital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백예은(Baek, Yeh Eun) 정혜원(Chung, Hye Won)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7권 제2호, 25~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자본이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
고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삼성꿈장학재단의 「교육소외 아동청소년 종단연구」 2022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
이분석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전후 잠재집단의 전이 양상 및 심리·사회적 자본, 참여 만족도가 집단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시점 모두 ‘고수준 집단’과 ‘저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두 시점 모두 심리적 자본 중 자기효능감, 탄력성과 사회적 자본 및 참여 만족도
가 학생일수록 ‘고수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등학생들의 진로개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멘
토링 장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진로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lassified latent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low-incom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scholarship projec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holarship program.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ransition pattern between the two latent groups at each time point and
verified the impac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by inputting variables on the
student's psychological and social capital as covariates. For this purpose,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applying a 3-step approach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mentoring dream scholarship project of the longitudinal data on educationally
marginalized children and youth collected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 'high
achievement group' and a 'low achievement group' in comm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holarship project.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achievement
group'.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holarship project, students with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larship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
achievement group'. Through thi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ustomized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by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development of
low-income high school stud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