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방 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벌집 문제 해결 효과 분석
이용수 21
- 영문명
- Analysis of Volunteer Firefighters' Effectiveness in the Beehive Issue amid Firefighting Shortages: A System Dynamics-GIS Approac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홍석범(Seok Bum Hong) 윤홍식(Hong Sik Yun) 한학(Hak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3, 89~10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도 상승과 도시 지역에서 말벌 증가라는 사회적 문제에 초점을맞추고, 소방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효과를 System Dynamics-GIS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Monte Carlo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로 화재 피해와 의용소방대 미투입 시 벌집 피해, 의용소방대 투입 시 벌집 피해 등이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 종료 시점(600초)에서평균 화재 피해는 27.18이었다. 의용소방대 미투입 시 평균 벌집 피해는 15.12였으며, 투입 시에는 4.88로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해 보면, 의용소방대 미투입 시 벌집 피해는 화재 피해의 55.63%에해당하며, 투입 시에는 17.95%로 줄어든다. 이는 의용소방대 투입으로 벌집 피해가 67.72% 감소하였다는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소방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관련 소방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societal challenges posed by global warming and the proliferation of wasps in urban settings. It also investigates the impact of volunteer firefighters during times of firefighter shortages using a System Dynamics-GIS model. The study employs the Monte Carlo method for simulation, focusing on fire damage, beehive damage with and without volunteer firefighter involvement. After 600 seconds, the simulation revealed that average fire damage was 27.18. Beehive damage averaged at 15.12 without volunteer firefighter assistance, but this figure dropped to 4.88 with their aid. Analysis shows that beehive damage constituted 55.63% of fire damage without volunteer intervention, and only 17.95% with it. This translates to a 67.72% decrease in beehive damage due to volunteer firefighter efforts. These findings provide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ole of volunteer firefighters in scenarios of firefighter scarcity and offer critical data for developing relevant firefighting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3 목차
- 재난 과정에 관련된 국내 언론의 재난 보도 양상
- 소방 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벌집 문제 해결 효과 분석
- 코로나19 시대의 청소년 비만 예측요인 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방법을 이용하여
- 산불진화복 난연성능 개선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 데이터마이닝과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한 소규모 지역의 부주의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 모형 구축
- Analysis of the Causal Loop Structure of Public Health Systems' Response to COVID-19 Using Media Reports in Korea
- 지표화피해지 산불피해목 생존예측을 위한 위성영상 지수의 적용성 검토
- 재난피해 노인의 사회자본,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 산불 특수진화대의 업무 만족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탑승자 집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정신건강 전문가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Financial Risk Transfer in National Storm and Flood Insurance Program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