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불진화복 난연성능 개선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Establishing Criteria for Evaluating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Forest Fire Protective Clothing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한송희(Song Hee Han) 차성은(Sung Eun Cha) 장미나(Mina Jang) 권춘근(Chun Geun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3, 79~8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불진화대원은 산악지형의 험난한 작업환경에서 산불 진화작업이 이루어진다. 위험성이 높은 화염에노출 되어있는 업무적 특성상 진화대원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진화대원이 착용하는 진화복의 방염 및 난연성능에 대한 평가 기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헌자료를 통하여 국내외진화복 난연성능에 관한 지침과 난연성 시험 방법을 조사하였고 진화복 샘플을 수집하여 규격과 소재를비교하였다. 국내 산불진화복 샘플 중 방염처리가 되지않은 제품과 세탁 전 후 난연성능이 낮아지는제품을 비교하기 위해 ISO 15025의 화염 확산 방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래에 버너를 30℃로 기울이고불꽃을 접염시켜 잔염시간, 잔진시간, 불꽃 확산 등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세탁 전과 후와 관계없이비방염, 후방염 제품은 전체 연소되었고, 아라미드 제품은 난연성능이 유지되어 판정기준에 적합한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화복 소재와 지침 기준에 대한 방향성을 마련함으로써 산불진화복의소재 및 성능,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ire-retardant and flame-retardant performance of forest firefighting suits worn by firefighters. We investigated guidelines and flame-retardant test methods for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of forest firefighting suits in Korea and abroad and collected forest firefighting suit samples to compare their specifications and materials. To compare non-fire-retardant products and products with reduced flame-retardant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washing among domestic forest firefighter suit samples, we conducted a flame spread prevention test of ISO 15025. As a result of the test, non-fire-retardant and post-fire-retardant products were completely burned regardless of washing before and after, and aramid products maintained their flame-retardant performance, resulting in results that met the judgment criteri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material, performance, and safety of forest firefighting suits by providing directions for the material and guideline standards of firefighting suit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3 목차
- 재난 과정에 관련된 국내 언론의 재난 보도 양상
- 소방 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벌집 문제 해결 효과 분석
- 코로나19 시대의 청소년 비만 예측요인 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방법을 이용하여
- 산불진화복 난연성능 개선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 데이터마이닝과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한 소규모 지역의 부주의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 모형 구축
- Analysis of the Causal Loop Structure of Public Health Systems' Response to COVID-19 Using Media Reports in Korea
- 지표화피해지 산불피해목 생존예측을 위한 위성영상 지수의 적용성 검토
- 재난피해 노인의 사회자본,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 산불 특수진화대의 업무 만족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탑승자 집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정신건강 전문가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Financial Risk Transfer in National Storm and Flood Insurance Program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