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피해 노인의 사회자본,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이용수 3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Disaster Victim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진현(Jinhyun Kim) 한지나(Jina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3,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을 경험한 노인들의 사회자본, 회복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실시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2016~2019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전체 재난피해자 3,200명 가운데 2016년 사회자본 변수들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557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자본의 일부변수들은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은 대부분 자기회귀효과를 보여 과거의 상태가 현재를 예측하였다. 반면 두 변수 간의 관계인 교차지연 효과는 삶의 질은회복탄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나 회복탄력성은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이상의연구결과를 통해서 재난피해 노인이 재난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함의를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people who experienced disaster.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 model which included social capital variables affecting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aseline was conducted with using the data from ‘long-term survey on the change of life of disaster victim(2016~2019)’. Among the total samples of 3,200, 557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were selected. Results showed that some variables of social capita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changes in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from 2017 to 2019, both variables had auto-regressive effects for their owns. However, cross-lagged effects were only significant when the quality of life predicted resilience over time. Based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policies and services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overcome disast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3 목차
- 재난 과정에 관련된 국내 언론의 재난 보도 양상
- 소방 인력 부족 상황에서 의용소방대의 벌집 문제 해결 효과 분석
- 코로나19 시대의 청소년 비만 예측요인 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방법을 이용하여
- 산불진화복 난연성능 개선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 데이터마이닝과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한 소규모 지역의 부주의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 모형 구축
- Analysis of the Causal Loop Structure of Public Health Systems' Response to COVID-19 Using Media Reports in Korea
- 지표화피해지 산불피해목 생존예측을 위한 위성영상 지수의 적용성 검토
- 재난피해 노인의 사회자본,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 산불 특수진화대의 업무 만족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탑승자 집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정신건강 전문가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Financial Risk Transfer in National Storm and Flood Insurance Program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