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민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163
- 영문명
-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Seoul residents
- 발행기관
- 마인드교육융합학회
- 저자명
- 김지웅(Jee Wung Kim) 김상운(Sang Woon Kim)
- 간행물 정보
- 『마인드 교육』제3권 제1호, 81~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살예방 정책 수립 및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만 19세 이상의 서울시민 2,000명으로부터 수집된 2022 서울시민의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성령(B=-.218, p<.001), 인간관계만족도(B=-.152, p<.05), 전반적 건강상태(B=-.373, p<.001), 현재 삶의 만족도(B=.495, p<.001), 자아존중감(B=-.768, p<.001)은 자살 생각여부에 유의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인간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전반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을 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재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살 생각을 할 확률은 낲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과 자녀유무는 자살 생각 여부에 유의한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민의 자살 예방 정책을 위해서 서울시민들의 특성에 따라 정책을 세분화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자살생각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자살 예방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strategies. The 2022 Mental Health Survey of Seoul Residents, collected from 2,000 Seoul residents aged 19 and over,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Spirituality (B=-.218, p<.001), relationship satisfaction (B=-.152, p<.05), general health (B=-.373, p<.001), current life satisfaction (B=.495, p<.001), and self-esteem (B=-.768,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In other words, younger age, lower relationship satisfaction, poorer general health, and lower self-esteem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suicidal ideation. On the other hand, higher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suicidal ideation. On the other hand, gender and having children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Therefore, fo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segment the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residents in order to come up with effective poli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actual situation of suicidal thoughts among Seoul resident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목적 및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