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용수 339
-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for Teachers in Guiding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경(Heekyung Lee) 표정민(Jungmin Pyo)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4권 제2호, 45~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문제행동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를 대상으로 긍정적행동지원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교수효능감의 변화와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G광역시에 재직하고 있는 영유아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양적 및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지도 교수효능감은 사전-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개인적 효능감이 가장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행동지원 실행에서는 규칙선정 및 지도 요인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행동지원의 인식변화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긍정적행동지원 실행 후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의 변화를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가 변화되고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교사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영유아 문제행동 예방 및 창의성 촉진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추후 실제로 유아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eachers' instructional efficacy and perception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by implement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PBS for teache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managing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six preschool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instructional efficacy in managing problem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personal efficacy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only rule selection and guidanc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of PB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erceptions of PBS. Fourth, the changes i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fter implementing PBS were examined through interviews, which confirmed that teacher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se behaviors had positively changed.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to verify the actual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behavior as it serves as an exploratory study into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the promotion of creativity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