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 제작기술과 내재적 발달에 대하여

이용수 0

영문명
On the Internal Development of the Lithic Technology in Korea since MIS 4 stage : Based on the lithic industry excavated from Dosan site in Hwasun County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이기길(Gi-Kil Lee)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49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구석기 연구에서 중기 구석기시대의 설정 문제는 중요한 논쟁거리이며, 핵심은 그 시대만의 석기 제작기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이다. 약65,000년 전으로 편년되는 화순 도산유적의 하부 문화층에서 출토한 몸돌·격지석기군을 대상으로 제작기법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원석을 골라 사전 조정 없이 일정한 밑감용 격지를 연속하여 제작한 기법, 모서리에서 직사각형격지를 제작한 기법, 타격 지점과 순서를 정교하게 계산하여 도구를 제작한기법과 대형 격지의 제작기법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전기 구석기시대의 기술 요소가 남아있는 반면, 후기 구석기시대를대표하는 돌날기법과는 다른 양상이다. 따라서 중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석기 제작기술로 인정할 수 있다. 그런데 대형 격지의 제작기법을 제외한 세가지 기법은 돌날의 제작기법과 공통되거나 관련된 기술 요소 및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후기 구석기인이 이전 시기의 석기 제작기법에서 필요한 것들을 조합하여 돌날기법을 발명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약 65,000년 전에 전기 및 후기 구석기시대와 분명히 구별되면서도두 시대의 석기 제작기법과 관련된 요소들로 이뤄진 석기 제작기술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돌날기법의 출현 연대가 약 42,000년 전까지 올라가며, 좀돌날석기가 30,000년 전보다 이전에 등장했다는 연구 성과들을 종합해볼때, MIS 4기 이래 한반도의 석기군은 연속적이고 내재적인 발달 과정을 거친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n Paleolithic research is establish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Middle Paleolithic. In this regar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a 65,000-year-old lithic industry excavated from the first cultural layer of the Dosan site was analyzed. As a result, a technique of selecting appropriate pebble and manufacturing flakes for blank without pre-adjustment, a technique for producing sharp rectangular flakes by hitting at the corner of raw material, a technique for making tools by precisely calculating the strike point and order and a knapping technique of large flakes were identified. While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Lower Paleolithic remain, it is different from the blade technique representing the Upper Paleolithic. Therefore, it can be recognized as a distinct and characteristic lithic technology of the Middle Paleolithic. However, the three techniques except the knapping technique of large flakes, contain technical elements and concepts that are common or related to the blade technique. Therefore,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Upper Paleolithic inhabitants invented the blade technique by choosing and combining the essential elements from lithic technology of the previous period and also by adopting new raw materials. Thus, 65,000 years ago, lithic technology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ower and Upper Paleolithic, but there were elem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oth ag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search results showing that the emergence of the blade technique goes up to 42,000 years ago, and that the microblade technique appeared more than 30,000 years ago, it is interpreted that the lithic techn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a continuous and internal development process since MIS 4 s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 화순 도산유적의 개요
Ⅲ . 붙는 석기의 분석
Ⅳ . 65,000년 전 무렵의 석기 제작기술
Ⅴ .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길(Gi-Kil Lee). (2024).중기 구석기시대 석기 제작기술과 내재적 발달에 대하여. 한국구석기학보, (), 5-24

MLA

이기길(Gi-Kil Lee).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 제작기술과 내재적 발달에 대하여." 한국구석기학보, (2024):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