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사 실천 경험 연구
이용수 589
-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 Practice Experience of Restorative Lif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School Conflict and School Violence Issu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하경남(Kyeong-Nam Ha) 강주리(Ju-Ri Kang) 위미나(Mi-Na Wi) 김경미(Kyung-Mi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2호, 109~1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및 학내 갈등 상황에서 평화롭고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학교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하는 ‘회복적 생활교육’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9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교사들이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한 경험에 대하여 면담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회복적 생활교육 실천을 통해 학교 공동체 내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갈등에 대한 구성원들의 감수성과 평화적인 해결에 대한 의지를 높이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사 모두에게 교육적으로 의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회복적 생활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동료성 함양, 재정적·인적 인프라 및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rough the experiences of teachers how ‘restorative life education’, which aims to restore the school community to create a peaceful and healthy community in situations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nflict, is being implemented. Method: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experiences teachers had while practicing restorative life education. Results: Through the practice of restorative life education, teachers were increasing members' sensitivity to large and small conflicts occurring within the school community and their will for peaceful resolution. In addition, not only students but also parents and teachers found this experience to be educationally meaningful. Conclusion: In order for restorative life education to become established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amaraderie among all school community members and build financial and human infrastructure and syste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 : 회복적 생활교육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그릿과 소명의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및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개념적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가능성과 과제
- Ivan lllich의 도구관을 통한 에듀테크 주요 이슈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사 실천 경험 연구
- 내러티브에 기반한 영유아 통합 교육과정 개발의 시론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