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van lllich의 도구관을 통한 에듀테크 주요 이슈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이용수 354
- 영문명
- A Critical Analysis of EduTech Major Issues and Educational Direction Reflection Through Ivan Illich's Perspective on Tool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민채(Min-Chae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2호, 6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Illich의 도구관에 입각하여 국내 에듀테크 논의에서 나타난 주요 이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적 방향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에듀테크와 관련해 비판적 견해가 두드러지는 연구 9편과 Illich의 저서 『절제의 사회(Tools for Conviviality)』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술만능주의로 향하고 있는 에듀테크 논의가 과학기술의 무한한 가능성의 신화에서 벗어나, 에듀테크를 조작적 도구에서 컨비비얼 도구로 리툴링하고, 교육 구성원들에게 자율적 권한을 부여해야 함으로써 현장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논의 및 결론: 향후 에듀테크 논의가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다차원적으로 고민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컨비비얼리티 개념을 토대로 한 에듀테크 교육 정책 및 활용 방안 제고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the main issues emerging in domestic EduTech discussions based on Illich's concept of tools, and to explore educational directions. Metho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nine studies that prominently feature critical perspectives on EduTech, along with Illich's book, 『Tools for Conviviality』. Results: The discussion on EduTech, which is leaning towards technological determinism, needs to break away from the myth of the infinite potential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retool EduTech from manipulative tools to convivial tools and to empower educational stakeholders with autonomous authority to alleviate the vague anxieties present in the field. Conclusion: Future EduTech discussions should be directed towards multidimensional considerations of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enhancing EduTech educational policies and utilization plans based on the concept of convivia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에듀테크 논의에서 나타난 주요 이슈
Ⅲ. Illich를 통해 본 에듀테크 논의의 주요 이슈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그릿과 소명의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및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개념적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가능성과 과제
- Ivan lllich의 도구관을 통한 에듀테크 주요 이슈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사 실천 경험 연구
- 내러티브에 기반한 영유아 통합 교육과정 개발의 시론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