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및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64
- 영문명
- Effects of a Reality Therapy-based Classroom Counseling Training Program Using Visualization Material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fe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조유정(Yoo-Jeong Jo) 유순화(Soon-Hwa Yoo) 정애리(Ae-Ree Ch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2호, 139~1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과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B시 소재 초등학교 4개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한 회기에 60~90분씩 총 10회기의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만족도 및 소감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생활지도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교사-학생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결론: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은 생활지도 효능감과 교사-학생 의사소통의 향상을 통해 초등학생과 소통하며 교육하고 생활지도하는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에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lassroom counsel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counseling using visualization data on the efficacy of life guidance an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 Teachers from 4 B elementary school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12 people each, and a total of 10 sessions of 60~90 minutes per session were conducted. The pre-post-follow-up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ment ANOVA, and satisfaction and imp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d life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classroom counseling training program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ies in communicating, educating, and gu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life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그릿과 소명의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및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개념적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가능성과 과제
- Ivan lllich의 도구관을 통한 에듀테크 주요 이슈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사 실천 경험 연구
- 내러티브에 기반한 영유아 통합 교육과정 개발의 시론적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