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외 대학의 학부교육 개편 사례 비교 연구

이용수 46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Undergraduate Education Reform: Cases of University of Hong Ko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University of Melbourne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임희진(Heejin Lim) 박선나(Sunna Park) 김수진(Su Jin K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4권 제3호, 29~6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전공교육에 대한 전문화(specialization)가 강조되는 영국식 학부교육의 전통을 공유하고 있는 3개의 사례대학(홍콩대학교,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멜버른 대학교)의 학부교육 개편 사례 분석을 통해 대학교육 모형의 변형 현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각 사례대학의 학부교육제도 개편 배경 및 내용에 관한 다양한 문헌 자료(선행연구, 연구보고서, 언론 기사, 대학 홈페이지 및 공식 문서)를 토대로 사례대학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사례대학의 학부교육 개편이 이루어진 주요 배경에는 지식기반경제에서 필요한 역량을 갖춘 전인적인 인재 양성의 필요성과 더불어 대학의 ‘국제화’ 경쟁력 강화(예: 유학생 유치)가 공통적인 동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사례대학들은 교양교육(general education)과 자유 선택과목 비중을 확대함에 따라 전공교육 비중을 축소하였다는 점에서 과거 영국식 대학교육 모형에서 상당 부분탈피하였으나, 구체적인 개편의 동인과 내용은 기관의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사례대학들의 학부교육 개편 목적과 내용에 상당한 공통점이 있지만, 구체적인 개편 내용과 수단은 각 기관의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국립대학교와 멜버른 대학교의 경우 개편과정을 거치며 여러 지역의 대학교육 모형이 혼재되는 혼종성(hybridity)의 특징이 발견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ification of the university model in three post-colonial institutions—the University of Hong Kong,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the University of Melbourne—which share the legacy of the British undergraduate education model that emphasizes specialization in specific maj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recent undergraduate education reforms undertaken by these univers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processes of transformation.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multi-case analysis and compar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se universities by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data (prior studies, research reports, media articles, university websites, and official documents. [Results] Common drivers for undergraduate education reform include global higher education norms that emphasize competence-based education to enhance graduate employability and bolste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Consequently, all case universities reinforced the general education component and increased flexibility in curriculum structure, moving away from the British legacy of specialization in specific disciplines. However, the specific drivers and content of the reforms varied depending on the institutional context, resulting in each case university developing distinct formats of undergraduate education mode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the case universities incorporated various components from the US education model, these borrowing practices did not necessarily result in homogeneity among the three institutions.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a hybridity in the university education models of some case universities, which selectively integrated educational models from various regions during the process of undergraduate education reform.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희진(Heejin Lim),박선나(Sunna Park),김수진(Su Jin Kim). (2024).해외 대학의 학부교육 개편 사례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34 (3), 29-61

MLA

임희진(Heejin Lim),박선나(Sunna Park),김수진(Su Jin Kim). "해외 대학의 학부교육 개편 사례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34.3(2024): 29-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