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냉전기 한국의 팔레스타인정책

이용수 48

영문명
ROK's Palestine Policy during the Cold War: Analysis of the Factors in ROK's De Facto Recognition of the PLO in 1980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저자명
양준석(Joonseok Yang)
간행물 정보
『동서연구』제36권 2호, 89~12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2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80년 한국의 PLO 사실상 승인의 과정과 승인의 주요 원인을 1차 사료를 통해 분석한다. 1979년 한국정부는 PLO 승인을 준비했는데, 이는 기존 이스라엘 중심의 중동정책에서 크게 선회한 것으로 미국의 외교기조와 충돌할 수 있었다. 미국과 중동 관계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한국의 중동정책 전환은 한국외교의 자주성 강화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었다. 한국정부는 미국과 일본의 PLO 불승인 입장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승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명시적 승인과 PLO 관계에서 한국의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일방 선언 방식을 고려했다. PLO 승인 이후 미국정부는 경제지원을 지렛대로 한국에 대해 압박전략을 구사했다. 미국과의 마찰이 예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진행된 한국정부의 자주외교 추진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측면으로 원활한 석유공급과 건설시장 확대가 고려되었고, PLO 승인 이후 한국의 중동에 대한 수출규모는 정점에 도달했다. 둘째, 정치적 측면으로 중동 전반과 관계 개선을 추구한 포괄적 외교전략은 박정희의 자주 인식에 기초했으며, 북한과 외교적 대결에서 우위를 목표로 했다. 셋째, 국제적 측면으로 1970년대 유럽은 중동문제에서 더 이상 미국 중심 정책에 순응하지 않았고, 공산진영과 PLO의 결속은 이완되었다. 한국의 PLO 승인은 정치·경제적 이익을 고려한 자주외교의 시도였고, 국제정치적 흐름을 적극 반영한 사례였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외교기조의 혼선, 대외적으로 지나친 경제적 이득 표출과 같은 한계가 존재했다.

영문 초록

Utilizing primary source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and main reasons for the Republic of Korea’s (ROK) de facto recognition of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PLO) in 1980. In 1979, the ROK government prepared to recognize the PLO, which represented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its previous Israel-centered Middle East policy and could have clashed with the US diplomatic posture. At a time of high uncertainty in US-Arab relations, ROK’s policy shift was understood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of ROK’s diplomacy. Although the ROK government confirmed the US and Japanese stance of disapproval of the PLO, it considered both explicit recognition, which would have the effect of approval, and unilateral declaration, which would lower the burden on the ROK in PLO relations. After the PLO recognition, the US government used economic support as a lever to pressure the ROK. Facing this expected friction with the US, the ROK’s pursuit of independent diplomacy was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First, on the economic front, the steady supply of oil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market were considered, and, indeed, South Korea’s exports to the Middle East reached a peak after the PLO recognition. Second, regarding the political aspect, the comprehensive diplomatic strategy, which sought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Arab states as a whole, was based on Park Chung-hee’s perception of independence, with the aim of gaining the upper hand in the diplomatic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Third, with respect to the international aspect, in the 1970s, Europe no longer followed the US-centered policy in the Middle East, and the ties between the Communist bloc and the PLO were loosening. Overall, the ROK’s recognition of the PLO was an attempt at independent diplomacy and an important example of harnessing international currents. However, it was limited by the confusion of ROK’s diplomatic tones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and by the overemphasis on external economic gains.

목차

Ⅰ. 서 론
Ⅱ. 1979년 PLO 승인 문제의 대두
Ⅲ. 1980년 PLO 사실상 승인과 한미관계의 변화
Ⅳ. 한국정부의 PLO 사실상 승인 배경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준석(Joonseok Yang). (2024).냉전기 한국의 팔레스타인정책. 동서연구, 36 (2), 89-123

MLA

양준석(Joonseok Yang). "냉전기 한국의 팔레스타인정책." 동서연구, 36.2(2024): 8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