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풍향차보(扶風鄕茶譜)≫ 고찰(考察)
이용수 77
- 영문명
- Considerations on Bupunghyangchabo
- 발행기관
- 한국차문화학회
- 저자명
- 유동훈(Donghun Yoo)
- 간행물 정보
- 『한국차문화』제7집, 69~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upunghyangchabo is a book on teas written by Philseon Lee Unhae(1710-?) who started for his new post as governor in Buan-hyeon, Jeollanamdo in 1754. Its original text has not been handed down except what was transcribed in the Leejaenango written by Leejae Hwang Yunseok(1729-1791)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punghyangchabo consists of Introduction and other four items such as texts on tea, names of tea, manufacturing methods , and tea utensils. Bupunghyangchabo contains methods to make Flavored Tea, herbal tea by picking tea leaves at Seonunsa Temple, Mujang-hyeon, making lump tea, and making scents and components of herbs that have a treatment effect on seven symptoms absorbed into lump tea. Flavored Tea is a household medicine designed to be drunk for disease symptoms. Tea utensils used for drinking purpose are drawn in pictures to express their names, volumes, and shapes and explained separately in tea utensils item,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books on tea in Joseon Dynasty. ‘Hyangcha’, as shown in the title, is used in the same meaning as ‘Hyangak’ indicating the medicines that had been produced in Joseon Dynasty. Bupunghyangchabo means ‘Hyangyakcha produced in Bupu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부풍향차보(扶風鄕茶譜)≫의 이해
Ⅲ.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