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飮茶공간 고찰

이용수 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차문화학회
저자명
홍정숙
간행물 정보
『한국차문화』제3집, 45~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pace for taking tea means that to enjoy tea and was not spontaneously built but was an artificial space from the life and idea of taking tea by our ancestors who pursued being with nature. The space for taking tea accompanied by reading books, having a moment of meditation, painting landscapes, writing poems, watering flowers in the garden, having conversations with intimate friends, performing instruments, and burning incense seemed to be the pleasure for men of leisure at a glance, but it was the space enjoyed only by the best minds. The space for taking tea was emerged as that of creating a novelty through the harmonization of such behaviors and minds and had characteristic to create the beauty. It seemed that it was originated from the spirit of the intellectuals to make enjoying tea environment helpful for improving charact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y writers valued and needed poem,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space for taking te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음다 공간의 역사적 변천과정
Ⅲ. 조선시대의 음다 공간의 변화
Ⅳ. 음다 공간의 구성 요소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정숙. (2012).조선시대 飮茶공간 고찰. 한국차문화, (), 45-68

MLA

홍정숙. "조선시대 飮茶공간 고찰." 한국차문화, (2012): 4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