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만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적응 벼 품종 ‘새봉황’

이용수 0

영문명
‘Saebonghwang’: A High Grain Quality Mid-Late-Maturing Rice Cultivar Adaptable to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이창민(Chang-Min Lee) 김춘송(Choon-Song Kim) 신운철(Woon-Chul Shin) 백만기(Man-Kee Baek) 박현수(Hyun-Su Park) 고종철(Jong-Cheol Ko) 김정주(Jeong-Ju Kim) 서정필(Jung-Pil Suh) 정오영(O-Young Jeong) 이건미(Keon-Mi Lee) 서정환(Jeonghwan Seo) 박송희(Song-Hee Park) 백동민(Dongmin Back) 장현수(Hyeonsoo Jang)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56 No.2, 147~15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0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새봉황’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이앙재배 및 담수직파 재배에서도 재배안정성이 좋고 수량성이 양호한 중만생 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육성되었다. 재배안정성과 담수직파 적응성이 우수한 ‘호품’을 반복친으로, 밥맛이 우수한 일본 벼 품종 ‘Hitomebore’를 수여친으로 여교배하여 육성되었다. ‘새봉황’은 계통육성법을 통해 초형과 출수기, 내도복성이 양호한 개체를 선발하여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통해 육성되었다. ‘새봉황’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1일로 ‘남평’(8월 13일) 보다 2일 빠른 중만생종이다. ‘새봉황’은 보통기 보비와 담수직파 재배에서 간장이 각각 76 cm, 74 cm로 ‘남평’(72 cm) 및 동안(69 cm)보다 크며 내도복 등 재배안정성이 양호했다. ‘새봉황’은 벼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며 도열병에는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새봉황’은 ‘남평’ 보다 외관품위가 좋고 도정특성 및 식미가 우수하였다. ‘새봉황’의 보비 재배, 담수직파재배, 이모작 재배 시 수량성은 각각 5.65 MT/ha, 5.37 MT/ha, 5.37 MT/ha였다. 드론 담수직파재배 시 초기 입모가 좋고 재배 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수량성은 4.49MT/ha로 이앙재배(5.03) 보다 다소 낮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어 ‘새봉황’은 드론담수직파에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봉황’은 이앙재배와 담수직파, 이모작 재배 등에서 수량성과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중만생 품종으로 농가의 기호와 여건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어 농가 작업효율 증대와 담수직파 재배면적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Saebonghwang’ was developed as a mid-late ripening rice variety with good cultivation stability and yield in transplanting and under direct seeding cultivation. It was bred by backcrossing ‘Hopum’, which has excellent cultivation stability and adaptability to direct seeding, as a repeat parent, and ‘Hitomebore,’ a Japanese rice variety with excellent taste, as a donor. The heading date of ‘Saebonghwang’ was August 11 under ordinary planting, which is two days earlier than that of ‘Nampyeong’, and August 13 under wet-direct seeding cultivation,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Dongan’. ‘Saebonghwang’ had a culm length of 74 cm under wet-direct seeding cultivation,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Dongan’ (69 cm), and had good cultivation stability, including lodging resistance. ‘Saebonghwang’ is resistant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rice stripe virus and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rice blast. Furthermore, ‘Saebonghwang’ has better grain appearance, superior taste and better milling characteristics than ‘Nampyeong’. The yield of ‘Saebonghwang’ when cultivated under ordinary planting, wet-direct seeding, and double cropping was 5.65, 5.37, and 5.37 MT/ha, respectively. Under wet direct sowing by drone cultivation, ‘Saebonghwang’ showed good initial survival rate and cultivation stability. The yield was 4.49 MT/ha, slightly lower than that obtained under transplanted cultivation (5.03 MT/ha),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Saebonghwang’ was adjudged to be adaptable to drone wet-direct seeding. ‘Saebonghwang’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suit the working conditions of farms, increase farm work efficiency, and expand the area of wet direct-seeding cultivation (Registration No. 9171).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민(Chang-Min Lee),김춘송(Choon-Song Kim),신운철(Woon-Chul Shin),백만기(Man-Kee Baek),박현수(Hyun-Su Park),고종철(Jong-Cheol Ko),김정주(Jeong-Ju Kim),서정필(Jung-Pil Suh),정오영(O-Young Jeong),이건미(Keon-Mi Lee),서정환(Jeonghwan Seo),박송희(Song-Hee Park),백동민(Dongmin Back),장현수(Hyeonsoo Jang). (2024).중만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적응 벼 품종 ‘새봉황’. 한국육종학회지, 56 (2), 147-159

MLA

이창민(Chang-Min Lee),김춘송(Choon-Song Kim),신운철(Woon-Chul Shin),백만기(Man-Kee Baek),박현수(Hyun-Su Park),고종철(Jong-Cheol Ko),김정주(Jeong-Ju Kim),서정필(Jung-Pil Suh),정오영(O-Young Jeong),이건미(Keon-Mi Lee),서정환(Jeonghwan Seo),박송희(Song-Hee Park),백동민(Dongmin Back),장현수(Hyeonsoo Jang). "중만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적응 벼 품종 ‘새봉황’." 한국육종학회지, 56.2(2024): 147-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