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로시간 불평등 및 근로시간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28

영문명
An Analysis on both Hours Inequality and Determinants of Working Hours by Laborers
발행기관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저자명
임병인(Byung In Lim) 이지민(Ji Min Lee)
간행물 정보
『재정학연구』제17권 제2호, 99~13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8년~2021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로써 근로시간의 불평등과 근로시간과 임금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들이 소득불평등의 최근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근로시간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추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인 불평등지수인 평균로그편차(Mean Log Deviation)를 이용한 시간당임금과 근로시간의 불평등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근로소득 불평등에 시간당 임금은 80% 이상, 주당근로시간은 20% 이하를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근로시간과 시간당 임금의 공분산이 매년 음(-)으로 추정되어 저임금 근로자가 고임금 근로자에 비해 더 길게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근로시간 결정요인 추정결과, 시간당 임금에 대한 탄력성은 음(-)이었고, 여성의 시간당 임금 탄력성이 남성보다 크고, 근로시간은 남성보다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정부의 장시간근로 지양정책으로 근로시간은 근로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법정근로시간인 주40시간에 수렴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근로시간의 불평등이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로시간과 임금간의 공분산이 음(-)이여서 소득불평등이 개선되고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ur study analyzes the trend of working hours inequality per week, the hourly wage and their correlation, then estimates how much they affect the labor income inequality in recent years and determinants of the working time by laborers with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Survey』 data from 1998 to 2021.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using the MLD (the mean log deviation) as inequality index is that both hourly wage and working hours inequality per week have been generally declining, and the contribution of hourly wage and working hours for the labor income inequality has accounted for more than 80% and less than 20%,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covariance between working hours per week and hourly wage has been estimated to be negative every year, indicating that low-wage workers work longer hours compared to high-wage workers. Second, estimation results for determinants of an individual’s working hours show that the elasticity of hourly wages was negative, and then its elasticity of women was greater than that for men, and women’s working hours were shorter than men’s. Third, working hours per week have converged to the statutory working hours, i.e. 40 hours per week, regardless of income classes. These results imply, despite a decrease in working hours inequality, the negative covariance between working hours and hourly wage suggests that improvements in income inequality are being triggered.

목차

Ⅰ.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Ⅱ. 기존 선행연구
Ⅲ. 사용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병인(Byung In Lim),이지민(Ji Min Lee). (2024).근로시간 불평등 및 근로시간 결정요인 분석. 재정학연구, 17 (2), 99-131

MLA

임병인(Byung In Lim),이지민(Ji Min Lee). "근로시간 불평등 및 근로시간 결정요인 분석." 재정학연구, 17.2(2024): 99-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