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北宋 哲宗 시기 誠·徽州蠻에 대한 정책

이용수 16

영문명
Northern Song’s Policies on the Tribes of Cheng and Hui Prefectures during Emperor Zhezong’s Period: Rethinking the “Land Abandonment” and “Opening of the Frontier” Issu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유종수(Jongsoo Yo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90집,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기반 위에서 철종 시기 성·휘주만 정책에 대한 기존 해석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주 부근의 여러 堡寨들이 폐지된 일은 실제로 元祐 3년(1088)에 발생한 것이지 元符 3년(1100)의 일이 아님을 밝혔다. 그러나 원부 원년에도 여전히 성주가 다시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紹聖·원부 연간 성·휘주에서는 ‘개변’이 실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서북변과 비교하면, 원우 연간의 ‘기지’는 성·휘주와 서북변 두 곳에서 모두 출현하였으나, 서북변과는 다르게 성·휘주에서는 소성·원부 연간의 ‘개변’이 일어나지 않았다. ‘기지’란 개념이 전하는 인상은 단순히 하나의 이념적 의론이란 점이다. 그러나 해당 지역에 대한 전략적 판단, 故事, 漢化 정도 등의 요소에 따라 ‘기지’가 실제로 시행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원우 연간의 ‘기지’론자를 탄핵하는 것을 통해 소성 초 新黨 인사의 ‘개변’에 대한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西夏와 靑唐의 사례는 ‘개변’이 송조의 실행 의지만으로는 가능하지 않고 그 대상이 송조에 가지는 태도와 그 내부 정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적어도 소성·원부 연간에는 ‘親宋’적 입장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송조는 성·휘주의 楊氏가 또 다른 ‘府州 折氏’가 되기를 기대하였고, 그리하여 ‘개변’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uilds on existing research to verify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policy towards the tribes of Cheng and Hui prefectures during Emperor Zhezong’s reign. The results show that the abolition of several fortresses near the Cheng prefecture actually occurred in the third year of Yuanyou (1088), not in the third year of Yuanfu (1100). However, in the first year of Yuanfu, the Cheng prefecture was still not rebuilt, suggesting that “opening of the frontier” was not carried out in the Cheng and Hui prefectures during the Shaosheng and Yuanfu eras. In comparison with the northwestern border area, “land abandonment” appeared in both areas during the Yuanyou period, but unlike the northwest border, there was no “opening of the frontier” in the Cheng and Hui prefectures between the Shaosheng and Yuanfu periods. While the concept “land abandonment” may appear to be an ideological thesis, its implementation in practice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strategic judgments about the region, historical events, and the degree of Sinicization. Moreover, the impeachment of Yuanyou’s “abandoning the land” theorists can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New Policies Party’s attitude towards “opening of the frontier” in the early Shaosheng period. However, the cases of the Tangut Xia and Qingtang show that the “opening of the frontier” could not only be a unilateral intention, but also had to take into account the counterpart’s attitude towards the Song dynasty and its internal situation. Since the Yang family of the Cheng and Hui prefectures maintained a pro-Song stance, at least during the Shaosheng and Yuanfu years, the Song dynasty expected them to become another Zhe family of the Fu prefecture, and thus the “opening of the frontier” did not occur.

목차

Ⅰ. 머리말
Ⅱ. 元祐 연간 ‘渠陽蠻變’으로 본 ‘棄地’의 정황
Ⅲ. 紹聖·元符 연간 ‘開邊’의 유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종수(Jongsoo Yoo). (2024).北宋 哲宗 시기 誠·徽州蠻에 대한 정책. 역사문화연구, (), 191-216

MLA

유종수(Jongsoo Yoo). "北宋 哲宗 시기 誠·徽州蠻에 대한 정책." 역사문화연구, (2024):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