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시대 프랑스 케이 팝 ‘팬-문화 매개자’들의 ‘그림자 문화 경제' - 인력채용부터 자금조달까지

이용수 16

영문명
The “shadow cultural economy” of French K-pop Fan-intermediaries in the Digital Age - From Recruitment to Financing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나우진(Woojin NA)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33호, 95~13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적 생산성’을 통해 케이 팝 산업의 수직적 매개의 공백을 채우고 있는 프랑스 케이 팝 팬-매개자들의 문화 실천을 ‘소비’의 관점이 아닌 ‘생산’의 관점으로 접근해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만들어가고 있는 ‘그림자 문화 경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조직되고 발전하고 기능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프랑스 케이 팝 팬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팬-문화 매개자들과 인터뷰를 실행하여 그들의 채용, 생산, 유통, 그리고 자금 조달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그들의 문화실천도 전문 문화산업 종사자들처럼 채용과정에서부터 자금조달 방법까지 그들 만의 규칙과 관행에 의해 수행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들은 팬 텍스트 특성에 맞게 주로 가까운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구성원을 조직하고 있었고, 비교적 자유로운 이런 인적 구성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업무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동료 팬-매개자들과 디지털 ‘공유’ 행위를 통해 홍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협력적 모습도 보였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쌓은 ‘명성’에따라 크라우드 펀딩, 아시아 문화 관련 행사 초대, 케이 팝 관련 소매상점과 가시성 계약, 댄스 레슨 제공 등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보상 체계를 가지고 있어 팬 문화 내 ‘하이브리드 경제’가 이미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ltural practices of French K-pop cultural intermediaries, who fill the gap in vertical mediation in the K-pop industry, through “textual produ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rather than “consumption” to understand how their “shadow cultural economy” is organized, functions, and develops. To this end, we conducted semi-directive interviews with fan- intermediarie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rench K-pop fandom to learn about their systems of recruitmen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financing. The practices of these intermediaries, like those of professional cultural workers, are guided by their own rules and practices, from recruitment processes to financing methods. Firs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an productions, they organize their members primarily through personal networks. However, despite this relatively free human composition system, a clear division of labor among them was observed. They formed also promotional networks through digital “sharing” with other fan-intermediaries, thus demonstrating their strong solidarity. They had a variety of social and economic reward systems at their disposal, depending on the level of popularity they had acquired on digital platforms. These systems included crowdfunding, invitations to East Asian cultural events, visibility contracts with K-POP related retailers, and the provision of dance lessons. This clearly demonstrates that a “hybrid economy” within fan culture is already in practice.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우진(Woojin NA). (2024).디지털 시대 프랑스 케이 팝 ‘팬-문화 매개자’들의 ‘그림자 문화 경제' - 인력채용부터 자금조달까지. 대중음악, (), 95-133

MLA

나우진(Woojin NA). "디지털 시대 프랑스 케이 팝 ‘팬-문화 매개자’들의 ‘그림자 문화 경제' - 인력채용부터 자금조달까지." 대중음악, (2024): 9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