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교육을 위한 변혁적 접근

이용수 7

영문명
Transformative Approach for Popular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김책(Chaek Kim)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33호, 69~9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오늘날 한국 대중음악교육의 문제점들을 재고찰해보고, 세계시민 교육의 주요한 덕목으로 꼽히는 반편향교육(anti-bias education), 변혁적 (transformative education)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개진되었다. 대중음악 교육의 총체적 변화가 요구된다는 총론적 함의와는 달리 실제 교육과정의 맥락에 있어서는 아직도 지난 세대의 이론적 주안점인 ‘통합’과 ‘첨가’ 모델에 매몰되어 변혁적 음악교육이라는 현대의 성취역량을 개진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각론의 논의 과정에 있어서는 사회과학적 문제의식에 기반하되, 한국 음악 교육에 있어 대중음악이 편향적으로 투영되고 정전화 되는 과정을 일견함으로서 한국 대중음악 교육이 내포하는 본유적 비대칭성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 논의 과정에 있어서는 타 국가의 재구성 사례들을 비교문화적으로 살펴보고 한국 음악교육의 맥락에 맞는 의미론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럽예술음악 일색의 계몽적, 편향적 교육 환경 속에서, 현대 음악교육의 핵심성취역량인 세계시민역량, 비판적 역량, 반편향역량, 변혁적 역량 등 성찰 성을 강화한 적실성 있는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성찰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siders and reflects on the issues surrounding contemporary education such as anti-bias education, transformat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popular music learning. The scope of popular music education not only comprises physical sonic elements but also includes complex socio-cultural phenomenon such as modernity and colonialism. However, a tendency to adopt a western art music-centric curriculum based on enlightenment notions persists in Korean popular music education. These factors are becoming a serious obstacle to approach contemporary virtues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symmetric curriculum of the clas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popular music in Korea is being reflected and how the meaning of authenticity is being defined.” To this end, this study includes comparative explanations on the reconstructed popular music curricula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seeks to understand the ethno-semantic aspects of the Korean classroom context. The different meanings of reflection upon a critical perspective are emphasized to approach the core competencies of contemporary popular music education such as global citizenship, critical, anti-bias, and transformative competency.

목차

1. 논의를 시작하며
2. 편향성: 고착되는 타자화
3. 대중음악교육은 어떻게 투영되는가: 비교적 고찰
4. 논의를 마치며: 변혁적 교수학습의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책(Chaek Kim). (2024).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교육을 위한 변혁적 접근. 대중음악, (), 69-93

MLA

김책(Chaek Kim).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교육을 위한 변혁적 접근." 대중음악, (2024): 69-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