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이용수 103

영문명
A Review of the Relics of Sacheonwangsa Temple (四天王寺) and Relics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during the Silla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김동하(Dong-ha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23집, 209~24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구를 통해 679년 사천왕사 창건가람의 구조를 추정해보았고, 아울러 사천왕사 창건가람에 사용되었던 瓦塼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창건가람의 구성과 창건기 유물을 통해 사천왕사가 철저한 계획성과 의도성에 의해 造營되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사천왕사 창건기에는 선대금당, 목탑, 추정단석지, 그리고 회랑 등이 건립되었으며, 각 불전들은 모두 설계 당시부터 일정한 규칙을 적용해 배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단위면적 20.5×22m의 공간을 이용하여 중심사역이 마련되었고, 그 안에 금당과 목탑, 그리고 추정단석지 등의 중심건물이 건립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치는 향후 사천왕사 조영척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음은 사천왕사지 출토 유물 중 창건기 유물을 선별해 보았다. 목탑 기단의 재료로 사용된 녹유벽전과 당초문전, 각 건물 지붕에 장엄된 암·수막새, 그리고 사천왕사의 가장 표지적 유물인 녹유유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창건가람에 사용된 瓦塼들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장인집단에서 만들어졌으며, 오로지 사천왕사를 위해 專用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천왕사 조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천왕사 조영계획에 있어 불전의 건축(지대석 가공)과 해당 불전에 장엄되는 재료(녹유신장벽전과 당초문전 제작)가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서 함께 기획·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당시 사천왕사 조영을 총괄하는 지휘부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지휘부는 건축 설계 뿐만 아니라, 건축에 이용될 資材의 세부디자인과 규격까지 포함하는 정밀한 설계계획안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riginal structure and layout of Sacheonwangsa (四天王寺) Temple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in 679 during the Silla Dynasty by examining the ruins, which was confirmed by excavation research, and to examine the roof tiles and bricks (瓦塼) used in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views in detail the composition of the construction of temple, and by examining relics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aims to confirm that Sacheonwangsa Temple was thoroughly planned and designed. First, at the time of Sacheonwangsa Temple’s foundation, the main Geumdang building from the early period (先代金堂), a wooden pagoda (木塔), the Danseokji site, where Buddhist ceremonies are believed to have taken place, and the corridor (回廊) were buil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ch Buddhist shrine was allocated all by applying a regular rule from the time of its design. It can be known that the central zone was built over a space measuring 20.5×22m, within which the main Geumdang (金堂) building, wooden pagoda and Danseokji site were all built.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futur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criteria for Sacheonwangsa Temple. Next, this study sorts out relics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among the relics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and reviews in detail the bricks with green glaze (綠釉壁塼) and arabesque-patterned bricks (唐草文塼), the eaves of roof tiles (瓦當) and green-glazed relics, which are representative features of Sacheonwangsa Temple. It is estimated that the roof files and bricks (瓦塼) used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were made by the same group of craftsmen exclusively for the temple. 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It is noteworthy that, in terms of the temple’s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Buddhist shrine (i.e. the processing of foundation stones) and the materials used to decorate the corresponding Buddhist shrine (i.e. the production of bricks with green glaze and arabesque-patterned bricks) were planned and produced in a close relationship. This leads one to assume that there was a general command unit or division of some sort that controlled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at that time, and that it had not only a construction design but also a detailed plan, including the materials to be used in the construction work, and detailed designs and measurements.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천왕사 창건가람의 구조
Ⅲ. 창건기 유물과 그 특징
Ⅳ. 사천왕사 조영의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하(Dong-ha Kim). (2016).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한국고대사탐구, (), 209-248

MLA

김동하(Dong-ha Kim).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한국고대사탐구, (2016): 20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