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 東岳 鷄藍山과 玄光의 翁山 梵刹

이용수 7

영문명
Tongak Kyeram Mountain of Baekje and Hyŏn’gwang’s Temple in Ong Mountain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장웅(Jang-woo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23집, 37~7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 성왕 때에는 유불 조화에 의한 정치개혁과 국가제사 체계의 변화에 따라 五岳 祭祀 역시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오악 제사는 위덕왕대를 거쳐 법왕대에 이르러서 불교사원과 융화되고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東岳 鷄藍山과 玄光의 翁山 梵刹 및 漆岳寺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玄光은 중국 진에 유학하여 남악 慧思로부터 法華安樂行門을 전수받은 인물로, 백제에 귀국하여 웅주 지역에서 翁山 梵刹을 세우고 여러 제자들을 키워 불교신앙을 전파했다. 필자는 특히 현광이 스승 慧思가 말년에 남악 형산에 머물렀던 시절에 찾아가 제자가 된 점에 주목하고, 남악에서 혜사의 행적 중에도 토착 산악신앙과 불교사원의 융화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현광이 백제에 귀국하여 오악 중 동악 鷄藍山에 자리잡고 梵刹을 세워 교화를 행한 것에는 혜사의 영향도 있음을 추론하였다. 현광의 이러한 행적은 그보다 한세대 뒤인 혜현에 영향을 주었으니, 이후 백제 오악 제사의 불교사원화를 통해 법화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의 불교를 지방에까지 전파하고, 백제의 국토를 불국토로 만드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Baekje reformed the government and state ritual systems through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process, the kingdom harmonized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五岳) with Buddhist temples from the reign of King Witŏk(威德王) to King Pŏp(法王). This paper will reveal this process through Tongak Kyeram Mountain(鷄藍山) and a temple(梵刹) in Ong Mountain(翁山) and Ch’ilak Temple(漆岳寺). Hyŏn’gwang(玄光) is a man who studied in the Jin dynasty, and learned Anlehangmen(安樂行門) of the Lotus Sutra(法華) from Nanyue Huisi(南嶽慧思). After his return to Baekje, he established a temple in Ong Mountain(翁山) of Ung Province(熊州) and spread his Buddhist ideas while raising apprentices.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act that Hyŏn’gwang visited Hyesa(慧思) and became his apprentice while Hyesa was staying in Namak Hyŏngsan in his latter years. Since there are many sources to suggest Hyesa’s activities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harmony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it is possible that Hyesa influenced Hyŏn’gwang’s activities such as settlement in Tongak Kyeram Mountain and establishment of the temple after his return to Baekje. Such Hyŏn’gwang’s exercises affected Hyehyŏn(慧顯), a Buddhist monk in the next generation. Thus,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Baekje a Buddhist state spreading the Buddhist beliefs in the capital to the rural regions through turning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 into Buddhist temple sites.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東岳鷄藍山과 漆岳寺를 통해 본 山岳祭祀의 佛敎寺院化
Ⅲ. 백제승 玄光의 翁山梵刹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장웅(Jang-woong Lee). (2016).百濟 東岳 鷄藍山과 玄光의 翁山 梵刹. 한국고대사탐구, (), 37-77

MLA

이장웅(Jang-woong Lee). "百濟 東岳 鷄藍山과 玄光의 翁山 梵刹." 한국고대사탐구, (2016): 3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