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기능 부서 간 협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

영문명
Study on the Impact of Cross Functional Integr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Fashion·Apparel Industry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방효민(Hyomin Bang) 심동녘(Dongnyok Shim)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2권 제2호, 57~6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연구개발, 마케팅, 생산 부서 간 협업이 시장적기출시, 제품혁신성, 재무성과로 구성된 다차원의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최고경영진의 관여 정도가 부서 간 협업과 신제품 성과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있는 패션·의류 기업 종사자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적기출시에는 연구개발·생산 부서 간 협업과 생산·마케팅 부서 간 협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혁신성과 재무성과에는 연구개발·생산 부서 간 협업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고경영진의 관여는 생산·마케팅 부서 간 협업이 시장적기출시에 미치는 효과와 연구개발·마케팅 부서 간 협업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개발·생산 부서 간 협업이 제품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은 최고경영진 관여에 의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의류 신제품의 성공적인 출시를 위해서는 단순히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서의 협업만으로는 부족하며, 생산 부서와의 협력 또한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최고경영진의 과도한 관여는 연구개발·생산 부문이 추구하는 혁신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between R&D, marketing, and production departments in fashion and apparel new product development on multidimensional new product performance consisting of time-to-market, product innov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also examined whether top management team(TMT) involvement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9 employees of fashion and apparel companies who had participated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market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time to market. Only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veness and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MT involvement has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marketing on time-to-market an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on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on product innovativeness is weakened by TMT invol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integration is not enough for the successful launch of new fashion and apparel products, but that collaboration with production departments is also important. On the other hand, excessive top management team involvement can negatively affect the innovativeness of new product by R&D and production integration, which implies that there may exist the optimal level of top management involvement.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효민(Hyomin Bang),심동녘(Dongnyok Shim). (2024).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기능 부서 간 협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42 (2), 57-64

MLA

방효민(Hyomin Bang),심동녘(Dongnyok Shim). "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기능 부서 간 협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42.2(2024): 5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