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이용수 3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The Mediating Role of Campaign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김미나(Mina Kim) 이성윤(Sungyoon Lee) 박설우(Seolwoo Park)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2권 제2호, 29~35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험마케팅은 제품과 서비스를 쉽게 복제할 수 있는 경쟁 시장에서 기업이 브랜드를 차별화하고 경쟁우위에 서기 위한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식음료 브랜드의 오프라인 광고 캠페인 참가자 224명을 대상으로 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캠페인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경험마케팅의 감각적, 감성적, 행동적, 지적 경험이 광고 캠페인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이어서 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대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광고 캠페인 참가 전 경험에 대한 기대와 참가 후 성과의 일치 여부에 의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감정적, 행동적 경험에 대한 사전 기대와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후 보고된 감각적, 감정적, 지적 경험이 광고 캠페인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만족도는 다시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전 감정, 행동적 경험에 대한 기대, 그리고 사후 감각적, 감정적, 지적 경험이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만족도에 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통한 추가 분석에서 부분적으로 경험에 대한 기대와 성과가 일치할 때, 더 높은 만족도가 보고되면서 기대-일치 효과가 일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다채로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경험마케팅 연구와 관련하여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Experience marketing can be a powerful alternative for compan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s and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a market where products and services can easily be replicate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ampaig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among 224 participants in offline advertising campaigns of Korean food and beverage brand. First, we explored how sensory, emotional, behavioral, and intellectual experiences of experience marketing influence campaign satisfaction. Then, we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Finally, we examine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campaign expectations and post-campaign experience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expectations for affec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sensory, affective, and intellectual experience reported after participating in advertising campaigns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the PROCESS macro,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brand loyalty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in relation to experience marketing research that provides consumers with a variety of brand experience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나(Mina Kim),이성윤(Sungyoon Lee),박설우(Seolwoo Park). (2024).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상품학연구, 42 (2), 29-35

MLA

김미나(Mina Kim),이성윤(Sungyoon Lee),박설우(Seolwoo Park). "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상품학연구, 42.2(2024): 2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