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이용수 110
- 영문명
- Analysis of Wildfire-Damaged Buildings Using Spatial Information: The Case of the 2023 Gangneung Wildfir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윤하(Yoon-Ha Lee) 김민석(Min-Seok Kim) 서현철(Hyun-Cheol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2, 62~6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정책과 선행연구들이 산불예방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으며,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발생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2023년 4월 11일 강릉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사례를 조사하고 건축물피해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사례와 비교를 통해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와 관련한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건축물 피해저감을 위해 단편적인 대책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건축규제 보완, 주변 환경 관리,피해저감시설 설치 및 소방력 접근성 확보 등의 종합적·유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취약한 인프라(소방관서, 도로 등)의 확대가 필요하지만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산불대응은 산림청, 소방청등 여러 기관 및 단체의 협업이 중요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Korea, several policies an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forest fire prevention; however, research on thecharacteristics of building damage caused by wildfires is insufficient. This study investigated a large wildfire that occurredin Gangneung on April 11, 2023,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aged buildings. Furthermore, several discussionpoints related to building damage due to wildfires are presen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First, becausepiecemeal measures have limitations in reducing damage to buildings, comprehensive and organic measures are needed, suchas supplementing building regulations, manag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stalling damage-reduction facilities, andsecuring access to firefighting services. Second, although vulnerable infrastructure (fire stations, roads, etc.) must beexpand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focusing on actual cases. Third, because cooperation between various agencies and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National Fire Agency is important in responding to wildfires,systematic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make quick and accurate decisions.
목차
1. 서 론
2.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 분석 관련 선행연구
3. 산불로 인한 피해건축물 특성 분석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2 목차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의 초기 화재 검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설치 방법에 따른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밀도 분포 균일도 개선
-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의 복사열 차단 효과 평가
- 콘칼로리미터 실험데이터 기반 BIPV 적용 도서관의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
- 국내 및 해외의 119종합상황실 수보요원 교육 및 배치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 전기 및 수소자동차 주차장의 화재위험성 완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최첨단 화재조사 기법
-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실규모 소화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