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최첨단 화재조사 기법
이용수 44
- 영문명
- Advanced Fire Investigation Technique Utilizing Virtual Realit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선재(Sun Jae Kim) 강민혁(Min Hyeok Kang) 우승우(Woo-Seung Woo) 민준성(Jun Sung Min) 김태훈(Tae H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2, 56~6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적용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방법을 통해 화재조사의 최첨단 기법을제시하였다. 화재현장을 360° 카메라로 촬영한 후, 취득한 이미지 파일을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생성, 편집 및 실행등의 과정을 거쳐 가상현실로 재구성할 수 있다. 현재 화재조사 기법은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방식을 취하고 있다. 2D의 제한적인 어려움으로 현장을 직접 가지 않은 사람은 현장감과 몰입감 등이 부족하다는한계가 있다. 하지만 제안한 기법을 현장조사에 적용하면 head mounted display (HMD)를 착용하고 360°의 3D 관점에서 현장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생동감 및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에 참여하지 않은 다양한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신뢰성 있는 화재원인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국가 주요 재난사고의 3D 디지털보존이 가능하여 사고에 의한 교훈을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 있다. 향후, 법정에서도 제안한 가상현실 재구성 시스템은 유효성 있는 증거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technique for fire investigation via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virtual reality(VR)-based system. After capturing a fire scene with a 360° camera, the acquired image files are processed, edited, andexecuted through a developed program to reconstruct the scene in VR. Currently, fire investigation methods involve writingreports based on photographed pictures. However, this 2D approach has limitations, as individuals who cannot visit the sitein person lack a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When the proposed technique is applied to scene investigations, wearingan head-mounted display allows for the investigation of scenes from a 360° 3D perspective that maximizes vivacity andimmersion. This technology facilitates collaboration with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ho could not otherwise participate ina scene, thereby enabling the reliable derivation of fire causes.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allows for the 3D digitalpreservation of major national disaster incidents and can therefore convey lessons from accidents to future generations. Inthe future, the proposed VR reconstruction system could be utilized as valid evidence in court cases.
목차
1. 서 론
2. 메타버스
3. VR 기반의 화재현장 재구성 시스템
4. 화재현장 적용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2 목차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의 초기 화재 검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설치 방법에 따른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밀도 분포 균일도 개선
-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의 복사열 차단 효과 평가
- 콘칼로리미터 실험데이터 기반 BIPV 적용 도서관의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
- 국내 및 해외의 119종합상황실 수보요원 교육 및 배치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 전기 및 수소자동차 주차장의 화재위험성 완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최첨단 화재조사 기법
-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실규모 소화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