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Training and Dispatch Criteria for Security Personnel in 119 Domestic and Overseas General Situation Room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용철(Yong-Cheol Kim) 한용택(Yong-Taek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2, 70~7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서 초등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에서의 수보요원들의 배치 및 배치전·후의 교육 및 훈련사항을 선진외국의 상황요원들과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업무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였으며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의 상황실의 전입 인사기준의 내부문서로 관리되는 곳은 경기도 1개 지역만 파악되었으며, 그리고 대부분의 상황실 요원들은 배치전 각 시·도본부 상황실 선배 대원들의 비공식적인 실무적응교육을 통한 상황실 업무에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본도 국내와 같이 여러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실 즉, 공동지령센터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국내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상황실의 업무에투입전 체계화되고 명확한 내용으로 교육 후 지령센터의 본업에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주로 이루어진 국가이고 주마다 법과 제도가 상이하나 재난안전에 관해서는 연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통제를 하고 있으며, 주정부별로 규정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주마다 교육훈련, 자격증 취득기준 및 기존 요원들에 대한 보충교육 규정을 가지고 있었다. 독일의 경우에는 상황실의 근무자가 되기 위한 교육 자체가 직업 교육 훈련으로 이루어진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직업학교에서는 수보요원들의 다양한 교육과정이 가능해야 하며, 입학 요건, 및 전문 자격등의 절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way to strengthen work capabilitie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of guard personnel before and after their deployment in the 119 Emergency Operations Center, which is in charge ofelementary responses to various disasters and accidents, with that given to advanced foreign situation personnel. Only onearea of Gyeonggi-do Province was identified in an internal document on personnel standards for moving into the situationroom in Korea,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ituation room agents were used for situation room work through theinformal OJT training of senior members of each city and provincial headquarters before deployment. Japan, like Korea,is organized into several prefectures and operates the sam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or Joint Command Center. Howev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Japanese system with respect to Korea is that situation room agents areemployed in the day-to-day operations of the command center after education with systematic and clear contents beforebeing put into the work of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Similarly, the United States comprises 50 states, each withits own laws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federal government actively controls disaster safety andestablishes and operates regulations by state, and each state has education and training, certification standards, andsupplementary education regulations for existing agents. In Germany, there is a specific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andtraining to become a worker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and the curricula in vocational schools for securitypersonnel, as well as the admission requirement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re specified by the government.
목차
1. 서 론
2. 119종합상황실 배치인력 및 교육현황
3. 해외사례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2 목차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의 초기 화재 검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설치 방법에 따른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밀도 분포 균일도 개선
-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의 복사열 차단 효과 평가
- 콘칼로리미터 실험데이터 기반 BIPV 적용 도서관의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
- 국내 및 해외의 119종합상황실 수보요원 교육 및 배치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 전기 및 수소자동차 주차장의 화재위험성 완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최첨단 화재조사 기법
-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실규모 소화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