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의 초기 화재 검출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4
- 영문명
- Initial Fire Detection Method for Intelligent CCTV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강경신(Kyeong-Sin Kang) 권오성(Oh-Sung Kwon) 조완호(Wan-Ho Cho) 김흥열(Heung-Youl Kim) 채승언(Seung-Un Chae) 유지선(Ji-Sun You)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2, 9~1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재는 예방 단계에서 사전 예측 및 조기 감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딥러닝 AI 분석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CCTV의 영상 분석 기술이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지능형 CCTV는 가시광선 영상 분석이 가능하지만,검출 대상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시광선 감지기와 열화상 감지기를 결합하여 이중 구조로구성하고, 알고리즘(algorithm)을 구현하여 사전에 예측하고 감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GB 감지기와 열화상 감지기를 통해 3가지 클래스(fire, smoke, person)를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였으며, 분류 신경망을 구축하기 위해 CNN 딥러닝 방식과 YOLOv5 방식을 활용하였다. 이중 센싱 카메라를 통해 성능을 평가한 결과 화염의크기와 온도 변화 등을 대상으로 화재 예측을 감지하는 트리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전용 서버를 통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수행될 경우 초기 화재 검출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re-prediction and early detection ar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fires. Hence, the integration of intelligent CCTVimage analysis technology, deep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tively being studied. Intelligent CCTV can analyzevisible light images of fires, but the accuracies of the detection targets are low. To solve this problem, a dual sensingexperimental device was constructed by combining a visible light sensor and a thermal image sensor, and an algorithm wasimplemented to predict fire events. An algorithm was constructed to detect three classes (Fire, Smoke, and Person) throughRGB sensors and thermal imaging sensors. Additionally, a CNN deep learning method and the YOLOv5 method were usedto build a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The dual sensing device was able to act as a trigger to predict and detect a firebased on the size of the flame and changes in temperature.
목차
1. 서 론
2. 관련 연구
3. 이중 감지기 CCTV의 구성
4. 화재 예측 분석 프로그램의 구조
5. 실험 결과
6.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2 목차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의 초기 화재 검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설치 방법에 따른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밀도 분포 균일도 개선
-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의 복사열 차단 효과 평가
- 콘칼로리미터 실험데이터 기반 BIPV 적용 도서관의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
- 국내 및 해외의 119종합상황실 수보요원 교육 및 배치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 전기 및 수소자동차 주차장의 화재위험성 완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최첨단 화재조사 기법
-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실규모 소화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