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제품 데이터기반의 소비자제품 정량적 리스크평가방법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nsumer Products Based on Korean Product Data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윤필준(Pil Jun Yun) 이재만(Jae Man Lee) 조희래(Hee Rae Jo) 강호연(Ho Yeon Kang) 박태현(Tae Hyun Par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9호, 129~1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제품의 위해 모니터링이 가능한 정량적인 제품 리스크평가방법을 연구하여 소비자안전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사고데이터, 제품사용실태조사데이터, 주민등록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년 같은 방법으로 신속하고 간편한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고건수와 사용률, 인구수를 근거로 발생확률을 도출하고 상해와 부위를 통해 심각도를 산정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방법을 통해 262개의 소비자 제품을 평가하였고 매년 심각한 리스크 등급제품 12개, 리스크 증가제품 6개, 리스크 감소제품 11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결과는 매년 제품의 위해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작게는 안전성 강화, 규제완화, 소비자교육 등의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크게는 소비자부터 학부모, 어린이, 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국내 소비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정책수립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nhancing consumer safety by researching a quantitative product risk assessment method that allows for annual monitoring of product hazards. The study proposes a method for conducting rapid and straightforward evaluations annually using accident data from the Korea Consumer Agency, product usage survey data, and resident population data. Based on the number of accidents, usage rates, and population, probabilities of occurrences were derived, and severity was calculated based on injuries and affected body parts to perform quantitative evalua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262 consumer products were evalua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identifying 12 products with severe risk ratings, 6 products with increased risk, and 11 products with decreased risk annually. These evaluation results have the significant advantage of being able to observe changes in product hazards annually. They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enhancing safety, easing regulations, and consumer education policy formulation but also as foundational data for various sectors including consumers, parents, children, and educators, thereby contributing to raising awareness and policy formulation regarding domestic consumer saf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