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획도시 및 기성도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적용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mart City Services in Newly Planned Cities and Established Cities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저자명
류동춘(Dong-Choon Ryu) 김호철(Ho-Cheol Kim)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36권 제1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대 초반 U-City사업으로 출발하여 최근 스마트도시 건설사업까지 적용되어온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 내용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파악하는 기초연구로,그동안 적용된 스마트도시서비스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선행 연구 등에서 제시하지 않았던 계획도시와 기성도시에서의 실제 단위 스마트서비스 적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그 경향과 특성을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계획도시와 기성도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적용을 비교하기 위해 계획도시는 신도시, 혁신도시등 72개 공공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기성도시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smartcity.go.kr)에 언급되고스마트도시 확산·조성사업으로 추진한 105개 지자체 공모사업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계획도시는 평균 8.18종의 서비스를 적용(64종 서비스, 589건 적용)하였고, 기성도시는 평균2.85종의 서비스를 적용(88종 서비스, 299건 적용)하여, 각각 88.3%, 75.9%가 교통, 방범·방재,환경 분야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기성도시에서는 교육, 문화·관광, 물류 및 근로·고용분야 서비스도 두드러져 서비스 적용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23종의 서비스가 계획도시와 기성도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고,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분류체계 및 예시’에 분류되지 않는 서비스가 계획도시에 18종, 기성도시에 50종으로 나타나 서비스서비스 확대 및 산업진흥의 관점에서 서비스 분류체계의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인프라 및 운영·관리 및 중심의 계획도시 서비스와 공모·경쟁을 위한 기성도시의 새로운도입에 대한 지속 가능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스마트도시를 위한 서비스의 적용은 계획도시또는 기성도시 모두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에 따라 시민사회가 제안하고, 체감할 수 있는다양한 서비스의 확대 반영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trend of smart city services universally applied in domestic citi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newly planned cities targeting 72 public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new cities and innovative cities, and the cases of established cities targeting 105 public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In newly planned cities an average of 8.18 types of services (589 applications of 64 types of services) are applied, while in established cities an average of 2.85 types of services (299 applications of 88 types of services) are applied, with 88.3% and 75.9% concentrated in transportation, crime prevention-disaster prevention, and environmental services, respectively.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 established cities is smaller than in newly planned cities, it shows that they are applied diversely to culture-tourism, logistics, and employment serv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23 types of services common to both newly planned cities and established cities, and 18 types of services not classified in the service classification system in newly planned cities and 50 types in established cit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efine smart city services-related terms and reorganize the class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smart city services and promoting private industry. Ultimatel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in both newly planned cities and established cities, various smart city services that residents ca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mart city plan need to be continuously expanded and reflected by local governments actively.

목차

1. 서 론
2.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3.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추진 현황
4. 계획도시와 기성도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비교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동춘(Dong-Choon Ryu),김호철(Ho-Cheol Kim). (2024).계획도시 및 기성도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적용 비교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 (1), 21-42

MLA

류동춘(Dong-Choon Ryu),김호철(Ho-Cheol Kim). "계획도시 및 기성도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적용 비교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1(2024):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