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의 비교 분석에 관한 고찰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the Analysis of Comparison with AROI and MROI Mode in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정열(Jung Yul Kim) 강천구(Chun Koo Kang) 김영재(Yung Jae Kim) 박훈희(Hoon-Hee Park) 김재삼(Jae Sam Kim) 이창호(Chang Ho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2 No.2, 222~22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LVEF) from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GCBP) for analysis auto-drawing region of interest mode (AROI) and manual-drawing region of interest mode (MROI), respectively. To evalu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produced by both ROI modes. Materials and Methods: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using in vivo method Tc-99m Red Blood Cell were performed for 33 patients (mean age: 53.2±13.2 y) with objective of chemotherapy using single head gamma camera (ADAC Laboratories, Milpitas, CA).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as automatically and manually measured, respectivel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AROI and MROI (LVEFAROI: 71.4± 12.4% vs. LVEFMROI: 65.8±5.9%, p=0.003). Intra-observer agreements in AROI was higher than MROI (γAROI=0.964, Cronbach’s αAROI=0.986 vs. γMROI=0.793, Cronbach’s αMROI= 0.911), either.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best septal view (ΔLVEFBSV= 0.7±2.3%, p=0.233),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badly separated septal view (ΔLVEF=10.9±11.4%, p=0.001). Moreover, Intra-observer agreements in best septal view was higher than badly separated septal view (γBSV=0.939, Cronbach’s αBSV=0.978; γ=0.948, Cronbach’s α=0.981 at AROI, γBSV=0.836, Cronbach’s αBSV=0.936; γ=0.748, Cronbach’s α=0.888 at MROI). Conclusion: When best septal view was acquired, LVEF by AROI and MROI indicated not different. Comparing Intra-observer agreements with AROI and MROI, the AROI tended to show high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ROI than MROI is valuable in reproducibility and objective when ROI analysis by acquire left ventricular of best septal view.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의 기본 Protocol 비교
- 감마카메라의 Sensitivity 보정 Factor에 관한 연구
- SPECT/CT에서 감쇠 보정 및 위치 정보의 유용성 평가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Half-Time 획득 인자 적용에 따른 임상적 유용성 평가
- PET/CT에서 소아환자 영상 재구성 시 DFOV 변화의 유용성
- PET/CT 영상에서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와 조영제를 사용한 CT를 이용한 감쇠보정에 따른 표준화섭취계수의 비교
- 간질 PET영상을 위한 플루마제닐(벤조디아제핀 수용체)유도체의 신속하고 간단한 합성방법 소개
-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Biliary Leakage)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Both Decubitus Position)의 유용성
- 이차성 고혈압 환자에서 알도스테론/혈장 레닌활성도 비율을 이용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단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
- Hospital Radiation Safety and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adiation Protection in Nuclear Medicine - What’s our role ? -)
- 병원 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만성적 방사선 피폭에 의한 혈액학적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 Article 고정상 추출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¹¹C]methionine의 합성
- 역할 모델(Role model)을 이용한 업무 개선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의 비교 분석에 관한 고찰
- ¹⁸F-FDG PET/CT검사에서 지연영상을 이용한 갑상선 우연종 감별의 유용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ttention UNet 모델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분할: IoU 기반 학습 및 AUC, MSE 평가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삼중수소 측정 신뢰성 검증을 위한 국제숙련도시험 결과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