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이용수 102

영문명
Latent Classes of End-of-life Preparation and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among Older Adults: Comparison by Age Group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최봄이(Bomi Choi) 박하영(Hayoung Park)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4권 2호, 53~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죽음 준비 유형에따라 웰다잉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실태를 유형화하고 하위유형에 따라웰다잉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연소노인(65-74세) 5,977명, 고령노인(75-84세) 3,33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610명의 세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죽음 준비는 수의/영정사진, 장지마련과 같은의례적 차원의 4문항, 교육 수강, 유서 작성 등 심리⋅사회적 차원의 2문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장기 기증 서약 등 의료적 차원의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웰다잉 인식은 스스로, 고통 없이, 가족⋅지인과 함께,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죽음을 맞는 것의 중요도의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분류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잠재계층 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소노인은상대적으로 적극적 준비도를 보이는 ‘적극 준비’ 집단과 전 항목에서 죽음 준비를 하지 않는 ‘준비 없음’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과 의례적 차원에서만 죽음 준비를 하는 ‘소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 세대에서 ‘적극준비’ 집단의 비중이 3~6%로 매우 낮았다.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연소, 고령노인이 ‘적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된 경우‘준비 없음’ 집단이나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각 항목의 중요성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이 가족⋅지인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서만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그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소노인부터초고령노인까지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수준이 여전히 낮고 의례적 차원에 국한되어 있으며, 웰다잉 인식이 죽음 준비 유형에 따라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 준비 교육 등 웰다잉 정책에서 노인 내 이질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영문 초록

Although soci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has increased, empirical evidence for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is ver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whether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vary by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nd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well-dying according to subgroups. For this, older Korean adults aged 6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5,977 young-old adults (65-74 years old), 3,333 old-old adults (75-84 years old), and 610 oldest-old adults (85 years old and above). End-of-life preparation was measured by four questions in the ritual aspect (e.g., preparing shrouds or funeral portraits), two questions in the psycho-social aspect (e.g.,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writing a will), and two questions in the medical aspect (e.g.,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ledging to donate organs). Perceptions about well-dying were measured using four item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dying autonomously, without pain, in the company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without burdening those around them.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stage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hich accounted for classification err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oung-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which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reparation, and the ‘no preparation’ group, which lacked preparation for end-of-life in all dimen sion s. The old-old and oldest-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which was limited to end-of-life preparation only in the ritual aspec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in all generations was very low, ranging from 3 to 6%.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perceptions of well-dying showed that among the young-old an d old-old adults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the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 preparation’ or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s. Among the oldest-old adults,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regarded end-of-life compan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as less important than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from young-old to oldest-old, remains low and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itual aspect. Furthermore, perceptions about well-dying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in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end-of-life preparation education, that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older popul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봄이(Bomi Choi),박하영(Hayoung Park). (2024).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한국노년학, 44 (2), 53-66

MLA

최봄이(Bomi Choi),박하영(Hayoung Park).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한국노년학, 44.2(2024): 5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