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향후 건강 상태에 따른 노인의 현 주택 계속 거주 의사에 미치는 요인 건강 상태와 주택환경 중심으로

이용수 49

영문명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of Aging in Place with future health conditions: Focusing on health status and housing environment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정미진(Mijin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0권,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 및 주택환경이 현 주택에 거주의사 에미치는영향을검증하고자하였다. 노인의현주택계속거주의사를건강상태에따라향후 건강을 유지할 경우와 거동이 불편할 경우 나누어 분석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역사회 계속 거주 및 현 주택 계속 거주와 관련이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 상태 및 주택환경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 본인이 조사에 응한 9,920명을 연구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을 유지할 경우 희망 거주 형태는 교육 수준, 배우자 유무, 가구 형태, 지역, 가구 연간 총수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거동이불편할경우희망거주형태는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가구 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건강을 유지할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증 점수가 높아질수록 더 좋은 주택이나 편의 주택으로 이사할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환경 요인의 경우 단독주택 또는 연립⋅다세대⋅기타의 주택에 살거나 무주택자이거나 현 주택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현 주택 거주를 위한 서비스 필요도가 높을수록 현 주택보다 더 나은 곳으로 이사나 편의 주택으로 이사할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동이 불편할 경우, 인지기능이 낮아질수록, 서비스 제공시설로 이주 또는 자녀, 형제와 같이 살기 원할 가능성이 높다. 주택환경 요인에서는 연립⋅다세대⋅기타에 살거 나 무주택자이거나 현 주택에 만족도 낮을수록 또는 현 주택 거주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 필요도가 높을수록서비스제공시설로이주또는자녀, 형제와같이살기원하는경향이높다. 본연구결과를 통해노인의건강상태변화를중심으로현주택거주의사에미치는다양한주택환경, 건강상태 및 인 구사회학적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통합돌봄 체계의 주택환경개선 서비스 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원활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주거안정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urrent health status and housing environment and the decision to age in place (AIP), taking into account the futur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ith a total sample size of 9,920 participants who conducted a self-report.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maintaining the current health status, the decision of A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having a partner, living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annual household income. However, when considering a weaker health status, the decision of A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x, educational level, having a partner, and living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hen maintaining the current health status, participants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higher depressive scores were more likely to move to a better housing environment. Also, participants who have lived in a single house, townhouse, and multiplex unit, who are not homeowners, have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house, and have higher needs for services for living in their current house were likely to move to a better housing environment. When having a weaker health status, participants who have lower cognitive status, live in a townhouse and multiplex unit, are not homeowners, have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house, and have higher needs for services for living in their current house were less likely to decide on AIP. The study provided evidence for building a community care system by exploring the association of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of AIP with health status.

목차

I. 서론
II. 문헌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진(Mijin Jeong). (2024).향후 건강 상태에 따른 노인의 현 주택 계속 거주 의사에 미치는 요인 건강 상태와 주택환경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5-33

MLA

정미진(Mijin Jeong). "향후 건강 상태에 따른 노인의 현 주택 계속 거주 의사에 미치는 요인 건강 상태와 주택환경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4):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