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역량과 영역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65
- 영문명
- A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ies and domains in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원경(Choi, Wonkyu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2권 4호, 277~2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mpetencies and content domain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is state-level curriculum, published in late 2022, wa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2015 revised curriculum, under the banner of a so-call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However, a notable weakness of these competency-based curricula has been pointed out: the lack of clear connections between subject competencies and content domains. This study addresses this issue by exploring the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 central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rough an examination of its terminological origins. Furthermore,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mponents of English subject competencies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ontent domains with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a.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more importantly, to assist teachers in enhancing their teaching methods in English classrooms.
목차
I. 서론
II.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주요 개편 내용
III. 영어과의 핵심 역량과 영어 교육의 목표
IV. 영어과 교과 역량과 내용 영역의 관계 탐색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ole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Linguistic Features in EFL Argumentative Writing
- Building a Wordlist from 2006-2021 Mock and Offici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CSAT) Uncover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 초등영어 학습부진아의 학습 고충에 대한 이해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ChatGPT on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Hiring Examination
- 두 예비 초등교사의 영어 수업 중 모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
- 과업중심 지도와 명시적 지도가 한국 고등학생 영어 파생어 강세 학습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Satisfaction Levels with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General English Courses during the COVID-19 and Post-COVID-19 Era
- The Cognitive Effects of MALL Combined with Feedback in EFL/ESL: A Meta-analysis
- 개방형 창의성 영어 학습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적 고찰
- 초등학생 영어학습자 영어 어말 유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역량과 영역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과정 중심 평가 결과로써 영어과 교과세특 기재 내실화를 위한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