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4·3과 젠더기반폭력

이용수 15

영문명
Gender-based Violence in Jeju 4·3 Incident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저자명
장숙인(Sukin Jang)
간행물 정보
『동서연구』제36권 1호, 63~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2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4·3은 민간인을 대상으로 젠더기반폭력과 집단학살, 전쟁범죄가 자행된 국가폭력이다. 그러나 냉전의 반세기동안 반공 이데올로기에 의해 모든 폭력행위는 정당화되고 은폐되었다. 특히 무력분쟁 중에 전쟁전략·무기로 사회적 약자에 가해지는 젠더기반폭력은 그 특성상 더욱 침묵되어왔다. 이 논문은 젠더기반폭력의 프리즘으로 제주4·3의 본질을 재조명한다. 당시의 젠더기반폭력은 주요 가해자였던 서북청년회 출신의 군·경찰에 의해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폭력과 살해, 성적고문, 도피자가족 살상, 성폭행·강간, 성적착취 및 살해, 집단강간, 강제결혼, 성교행위의 강제 등 8가지 유형의 메커니즘으로 자행되었고, 민간인 살상, 집단학살, 고문 등 국제법상 전쟁범죄와 반인도주의적 범죄를 구성하는 폭력행위들과 결합되어 가해졌다. 젠더기반폭력은 제주4·3이 일부 좌파세력에 대한 진압 수준을 넘어 사회적 약자인 민간인을 무차별적 살상과 인권유린의 대상으로 삼은, ‘국가권력에 의해 승인된 제노사이드’였음을 증명한다. 이에 대한 추가적 진상조사를 통해 제주4.3의 성격이 새롭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Jeju 4·3 Incident constitutes state violence targeting civilians, including gender-based violence, mass killings, and war crimes. However, throughout the Cold War era, all acts of violence were justified and concealed under anti-communist ideology. In particular, gender-based violence perpetrated against the socially vulnerable during armed conflicts has remained largely silenced. This paper reframes the essence of the Jeju 4.3 Incident through the prism of gender-based violence. At that time, gender-based violence, primarily perpetrated by military and police forces of the Northwest Youth Corp, included violence and murder against pregnant women and fetuses, sexual torture, killing of escapees and their families, sexual assault and rape, sexual exploitation and murder, mass rape, forced marriage, and forced sexual acts, comprising eight types of mechanisms. These acts were combined with acts of violence constituting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under international law, such as civilian killings, mass killings, and torture. Gender-based violence in the Jeju 4·3 Incident clearly indicates that it was a genocide approved by state power, involving indiscriminate killings and human rights abuses against civilians, which is beyond the level of suppressing certain leftist factions.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nature of the Jeju 4·3 Incident.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및 한계
Ⅲ. 제주4·3의 새로운 프리즘 젠더기반폭력
Ⅳ. 제주4·3에서의 젠더기반폭력 유형별 사례분석
Ⅴ. 결론 승인된 정치학살 제주4·3의 국가폭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숙인(Sukin Jang). (2024).제주4·3과 젠더기반폭력. 동서연구, 36 (1), 63-93

MLA

장숙인(Sukin Jang). "제주4·3과 젠더기반폭력." 동서연구, 36.1(2024): 6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