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논문] 민법상 전형계약으로써 의료계약 도입에 관한 고찰

이용수 36

영문명
Analyzing the Incorporation of Medical Contracts as Typical Contracts in Civil Law: A Comprehensive Examination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김수연(Su-Yeon Kim)
간행물 정보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제17권 제1호, 65~9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형계약은 거래계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계약 형태를 명문의 법조항으로 규율하여 법적 안정성을 높이고 소비자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2015년 민법전에는 전형계약으로써 여행계약이 신설됐다. 사회변화에 따라 예전과 달리 여행계약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탓이다. 이런 흐름 속에 최근에는 의료계약을 민법상 전형계약으로 편입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고는 의료계약에 관한 개념과 법적쟁점 및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입법적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의료인이 의학지식 및 기술에 따라 환자를 진찰하고, 최선의 주의를 기울여 치료하기로 하며 이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쌍무계약의 일종이다. 그 법적성질에 관하여는 ‘위임계약’ ‘도급계약’ ‘무명계약’ 등으로 견해가 대립한다. 어떤 견해든 의료계약의 의미를 온전하기 포섭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전형계약 신설이 요구된다. 한편, 대륙법 계통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국가 간에도 전형계약의 종류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독일 등 국가는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 신종계약을 전형계약으로 신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전세계 최초로 1994년 11월 민법전 개정을 통해 의료계약을 전형계약의 일부로 규정하였다. 독일도 2013년 환자 권리의 개선을 위한 법(Gesetz zur Verbesserung der Rechte von Patientinnen und Patienten)을 시행하여 의료계약을 민법상 전형계약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유럽사법의 원칙·정의·모델규칙(Principles of European Law, Service Contract)에도 전형계약의 한 형태로 진료계약이 규정돼있다. 국내에선 법무부 산하 제3기 민법개정위원회 제5분과위원회가 2011년 위와 같은 시도를 논의하였고, 관련 개정시안을 마련했다. 이후 제4기 민법개정위원회 실무위원회가 그 입법에 찬성하는 입장은 보였으나 아직 별다른 진전은 없는 상태다. 본고는 위 해외 사례를 토대로 의료계약의 당사자, 의료제공자의 의무, 손해배상에 관한 증명책임 등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개정시안의 타당성을 검토했다. 손해배상 증명책임에 관하여는 보다 명확한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개정시안은 해외 사례와 달리 진료기록 작성·보존의무는 규정하지 않고 있는데, 위 의무 위반 자체가 손해배상책임과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타당해 보인다. 향후 본고 주제에 관한 활발한 사회적 논의와 입법적 노력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ypical contrac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gulating the common types of contracts in commercial transactions. They provide explicit legal provisions, enhance legal stability, and offer robust protection for consumer rights. The Civil Code, implemented in 2015, introduced the travel contract as a typical contract to address the surge in travel-related agreements resulting from societal changes. Pres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include medical contracts as typical contracts within the Civil Code. This paper aims to provide legislative insights by analyzing the concept of medical contracts, related legal issues, and international precedents. A medical contract is a consensual agreement wherein a medical professional, based on their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examines patients, provides meticulous treatment, and receives corresponding compensation. Various opinions exist regarding its legal nature, such as “delegated contract,” “subcontracting contract,” and “unspecified contract.”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definition that fully encompasses the essence of a medical contract, establishing it as a distinct type of typical contract becomes necessary. Moreover, it has been observed that even countries sharing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exhibit variations in the types of typical contracts. For instance, Germany has responded to societal changes and demands by introducing new contracts as typical contracts. The Netherlands became the pioneer in regulating medical contracts as part of typical contracts by amending the Civil Code in November 1994. Germany followed suit in 2013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on the Improvement of the Rights of Patients (Gesetz zur Verbesserung der Rechte von Patientinnen und Patienten), which designated medical contracts as typical contracts under the Civil Code. The Principles of European Law, Service Contract, also recognize medical contracts as one form of typical contracts. In South Korea, the 5th Subcommittee of the 3rd Civil Law Amendment Commission, operating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explored similar endeavors in 2011 and prepared relevant draft amendments. Subsequently, the practical committee of the 4th Civil Law Amendment Commission seemingly supported the legislation, but substantial progress has yet to be made. Drawing on the aforementioned international cases, this paper examines the proposed amendments' validity, with a focus on key issues such as the parties involved in medical contracts, the obligations of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burden of proof for compens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er provisions regarding the burden of proof for compensation. Conversely, unlike international cases, the draft amendments do not regulate the obligation to create and preserve medical records. This approach appears reasonable since the violation of this obligation itself is not directly linked to liability for compensation. It is anticipated that active social discussions and legislative efforts concerning the topic of this paper will ensu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의료계약 및 전형계약 개념
Ⅲ. 전형계약으로써 의료계약 입법례
Ⅳ. 입법 관련 주요 쟁점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Su-Yeon Kim). (2024).[연구논문] 민법상 전형계약으로써 의료계약 도입에 관한 고찰.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17 (1), 65-92

MLA

김수연(Su-Yeon Kim). "[연구논문] 민법상 전형계약으로써 의료계약 도입에 관한 고찰."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17.1(2024): 65-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