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훼절소설 속 ‘복수의 남성성들’과 남성 젠더 실천의 다층성

이용수 12

영문명
Multilayers of Masculinities and Male Gender Practice in the ‘Hwejeol Fiction(Stories about Men Breaking His Faith)’ of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채은(Chae-e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4권, 261~30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후기에 들어오면 여색에 초연하다고 자처하는 남성 인물들이 주변인의 공모에 의해 호색적 성격을 폭로당하는 내용의 ‘훼절소설’들이 등장한다. 공통적으로 훼절소설에서는 주인공 남성들의 이성애 섹슈얼리티가 확인되는데, 훼절한 남성은 처벌받지 않고 공동체 내부로 포용된다. 그러나 개별 작품마다 주인공의 구체적인 훼절 과정과 결말은 차이를 보인다. 먼저 〈지봉전〉은 이성애 섹슈얼리티를 거부하여 동성사회적 기준과 불화하는 지배적 남성인 지봉 이수광을 진정한 남성으로 교화시키는 과정을 서사화했다. 주인공은 다른 지배 계급 남성들과 여성 거래의 삼각 구도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공적 관계를 맺는 지배 계급 남성들 간의 유대와 질서가 강조된다. 주인공은 훼절 과정에서 절대 비속해지지 않는다. 〈오유란전〉의 이생은 미성숙한 남성으로서 역시 이성애 섹슈얼리티를 거부해 동성사회적 기준과 불화하는 자다. 그는 가족이나 친구 등 사적 관계에 있는 남성의 공모로 훼절되며, 그 과정에서 알몸이 해학적으로 천하에 공개된다. 서사 말미에는 이생이 온전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체현한 존재로 성장한 후 동성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살아가는 후일담이 자세하게 제시된다. 〈삼선기〉의 초반부 서사는 세속적 욕망을 외면하는 지배 양반의 훼절을 그렸기에 〈지봉전〉과 유사해보인다. 그러나 후반부에서 주인공 춘풍이 훼절 이후 대안적 남성성을 실천한다는 점에서는 앞선 작품들과 구별된다. 춘풍의 젠더 실천은 남성 동성사회의 유지에 가장 큰 위협이 되므로 다른 서사와는 달리 그를 노골적으로 적대하는 반동인물이 등장한다. 결국 춘풍은 기존의 남성연대에 편입되지 못하고 다른 세계(신선의 공간)로 건너간다. 훼절소설군의 서사적 정형성에도 불구하고 개별 작품 속 주인공이 보여주는 젠더 실천들이 결코 단일하지 않는 까닭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하나의 이상일 뿐 현실에서는 남성적 규범을 제각각의 방식으로 실천하는 삶들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조선 후기 ‘복수의 남성성들’의 양상을 반영한 훼절소설들은 당대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결과물일 수 있다. 그러나 남성의 위기에 대한 서사가 꾸준히 창작되고 향유되어 오는 동안 가부장제는 언제나 성공적으로 유지되어 왔으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준들은 어떤 시점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남성 훼절 서사는 확고부동한 권력인 것처럼 보이는 남성성의 개념이 사실은 계속 도전받는 연약한 구성물뿐이라는 점을 여실히 드러내어 주지만, 한편으로는 이미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남성성 모델이 얼마나 깨뜨리기 어려우며 영향력이 큰지를 동시에 알려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group of novels called ‘Hwejeol Fiction(Stories about Men Breaking His Faith)’ appeared. They shared the narrative that the heterosexual sexuality of the male character is confirmed through tests. This narrative mean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heterosexual sexuality of individual men and granting them membership in the homosocial communities. This work was examined the homosocial between mens through three works of Hwejeol Fiction: ‘Jibong-jeon’, ‘Oyuran-jeon’, and ‘Samseon-gi’. First, in ‘Jibong-jeon’, a dominant man who rejects heterosexual sexuality and has the potential to discord with homosocial standards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is tex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men is focused, the virtue of the public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particularly emphasized to sustain the male bond. The dominant male protagonist never becomes profanity in the process, and is embraced into the community after the interruption. Next, in ‘Oyuran-jeon’, an immature man who pursues hegemonic masculinity appears. The narrative deals with the process of growing these immature men into true dominant men. He grows up with the help of men in private relationships such as family and friends, and in the process, a humorous episode in which they are shown there naked bodies. At the end of the narrative, they transforms into a being who embodies full hegemonic masculinity and lives happily as a member of the homosocial community. Lastly, ‘Samseon-gi’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two types in that it shows the practice of a newly adjusted ‘alternative masculinity’ rather than actively incorporating into the homosociality by breaking personal beliefs. Here, women have much more active voices and self-awareness than in the previous two types. Since the gender practice of the male protagonist poses the greatest threat to the maintenance of male same-sex society, unlike other narratives, hostile forces that block him appear, showing explicit hostility toward the protagonist. In the end, the protagonist is not fully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homosocial society but is incorporated into a different world. The fact that most of these narrativ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mainly enjoyed between male readers. It suggests that the enjoyment of narratives itself can be an practice for male readers’ homosocial solidarity. The existence of a long-running these narratives clearly reveals that the concept of masculinity, which on the other hand seems to be a firm power, is only a fragile component that is constantly challenged, but it also has great implications today in that it also tells us how difficult and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xisting male model holding hegemony.

목차

1. 들어가며
2. 조선 후기 양반층의 복수의 남성성들
3. 훼절소설 속 남성 젠더 실천의 다층성
4. 결론을 대신하며: 훼절소설의 다층성과 서사적 향유의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은(Chae-eun Lee). (2024).조선 후기 훼절소설 속 ‘복수의 남성성들’과 남성 젠더 실천의 다층성.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261-300

MLA

이채은(Chae-eun Lee). "조선 후기 훼절소설 속 ‘복수의 남성성들’과 남성 젠더 실천의 다층성."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4): 261-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