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인구 세대의 대학원 진학 결정 요인 분석
이용수 176
- 영문명
-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enrol in graduate school among the school-age popula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변수연(Suyoun Byou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90輯, 109~1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출신 대학의 특성, 출신 대학에서 경험한 교육경험, 그리고 주요 변수들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KELS 9차년도 4년제 대학생 조사와 10~12차년도 대학원생 조사 결과를 연결하여 표본을 구성하고(N=1,566), 그에 대해 교차분석과 독립집단 t-검정, 그리고 대학원 진학 여부를 종속변수로 삼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학력이나 월 가계소득보다는 부모의 대학원 학비 지원의사가 대학원 진학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쳤고, 국공립대 출신, 전공교과목 성적, 전공-적성 일치도, 그리고 출신 대학 소재지와 설립주체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에 정적 효과를 보였다. 성별과 전공계열, 출신 대학 소재지 등을 기준으로 표본을 나누어 집단 별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조건을 가진 학생 집단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요 변수들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ir home university, undergraduat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 terms of the main variables on their decision to pursue the graduate degree. The sample was constructed by linking the results of the KELS(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9th four-year college student survey and the 10th to 12th graduate student survey (N=1,566). On this sample, cross-sectional analyses, independent group t-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graduate school enrol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were conducted. The analysis shows that parents' willingness to pay for graduate education, graduation from a public university, high grades in major courses, major-aptitude match, home university location - governance type interaction ter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 Addition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various student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variables a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