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상황과 중앙아시아의 보완적 요인
이용수 52
- 영문명
- Russia’s Energy Security Situation after the Ukraine Crisis and Complementary Factors in Central Asia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박지원(Jiwon Park)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1호, 255~28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방의 경제제재로 인해 러시아는 자국의 핵심적인 이익이 관여된 에너지 분야에서 타격을 받게 되었다. 러시아는 중국, 인도 등에 대한 에너지 수출국 다변화와 가격 유지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으나 이는 충분한 대안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러시아로서는 중앙아시아와의 연계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첫째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시작으로, 이 지역을 매개로 하여 파키스탄과 이란 등 남아시아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것은 새로운 수요처 발굴의 의도가 강하며 서방에 대한 에너지 수출 감축을 일정 부분 상쇄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에너지 협력 강화를 통해 향후 EAEU 에너지 및 전기 시장의 통합화 과정에서 자국의 실익과 입장을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한다. 향후 통합될 EAEU 가스 시장에서 카자흐스탄 기업의 참여를 견제하고 EAEU 공동의 에너지 시장에서 독점적 에너지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Western economic sanctions have hit Russia hard in the energy sector, where its vital interests are at stake. Russia has been trying to protect its interests by diversifying its energy exports to China, India, and other countries and maintaining prices, but this is not a sufficient alternative. Therefore, Russia wants to solve this problem by connecting with Central Asia, starting with energy supplies to Central Asia and expanding energy supplies to South Asia, including Pakistan and Iran, through this region. The intention is to find new sources of demand and to partially offset the reduction of energy exports to the West. Second, it wants to strengthen energy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to better position itself and its interests in the future integration of the EAEU energy and electricity markets. It seeks to curb the participation of Kazakh companies in the future integrated EAEU gas market and consolidate its position as a monopoly energy supplier in the EAEU common energy marke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의 러-중앙아 에너지 관계
3. 서방의 제재와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위협
4. 중앙아시아의 효용성과 러시아의 전략적 포석
5.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헝가리의 주교 버이 페테르의 저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서술 분석
- 헝가리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분리파 양식
- 관념과 심미성의 역동적 융합
- 2022~2023 러시아 영화 주요 경향 연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크라이나 교육에 미친 영향과 미래 과제
- 크로아티아 ‘언어 순수주의’에 나타나는 인종적 우스타샤 언어 이데올로기
- 체코어 기능동사 복합술어 구문에 대한 어휘·문법적 접근
- ‘북방텍스트’에 나타난 에벤키족의 샤머니즘과 생태사상
- 흑백색의 의미상징
-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상황과 중앙아시아의 보완적 요인
- 1984년 김일성은 왜 소련과 동유럽을 순방했는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