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크라이나 교육에 미친 영향과 미래 과제
이용수 68
-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Russia-Ukraine War on Ukrainian Education and Future Challeng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홍석우(Sogu Hong)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1호, 217~25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년 러시아의 전면적 침략이 시작되면서, 우크라이나의 교육 시스템은 엄청난 피해를 받아왔다.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교육 분야에 있어서의 현대화와 유럽통합을 목표로 우크라이나가 추구해온 일련의 교육 개혁은 멈추게 되었고, 현재는 피해복구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번 전쟁에서 러시아가 왜 우크라이나의 교육과 교육기관을 공격대상으로 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전쟁 전 우크라이나의 교육 개혁 상황과 문제점을 살펴 볼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2022년부터 시작된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교육이 얼마나 피해를 입었고, 전쟁 중에도 어떻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번 전쟁을 통해 우크라이나 교육이 극복해야할 문제점과 미래의 지향점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Russia's full-scale invasion begins in 2022, Ukraine’s education system is suffering enormous damage. Since gaining independence from the Soviet Union in 1991, a series of educational reforms pursued by Ukraine with the goal of modernization andalusite European integ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come to a halt, and it is currently doing its best to repair the damage and normalize education. As a background to the study, this study explains why this war is targeting Ukraine's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xamines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Ukraine’s education reform before the war.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much damage Ukrainian education has suffered in the war that began in 2022 and how education is progressing even during the war. Lastly, this study discusses the problems that Ukrainian education must overcome through this war and its future direc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쟁과 교육의 관계
3. 2022년 이전 교육 개혁 및 문제점
4. 우크라이나 교육에 대한 전쟁의 영향
5. 맺는말: 우크라이나 교육의 미래 과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헝가리의 주교 버이 페테르의 저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서술 분석
- 헝가리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분리파 양식
- 관념과 심미성의 역동적 융합
- 2022~2023 러시아 영화 주요 경향 연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크라이나 교육에 미친 영향과 미래 과제
- 크로아티아 ‘언어 순수주의’에 나타나는 인종적 우스타샤 언어 이데올로기
- 체코어 기능동사 복합술어 구문에 대한 어휘·문법적 접근
- ‘북방텍스트’에 나타난 에벤키족의 샤머니즘과 생태사상
- 흑백색의 의미상징
-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상황과 중앙아시아의 보완적 요인
- 1984년 김일성은 왜 소련과 동유럽을 순방했는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