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론 검토

이용수 31

영문명
Neolithic Complex Hunter-Gatherers in Korea Revisitied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성춘택(Chuntaek Seong)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6호, 41~6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사시대 사회의 성격을 규정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최근 복합수렵채집사회라는 개념으로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를 이해하려는 흐름이 있다. 수십 기 마을과 잘 만들어진 유구와 유물, 외부와교류의 증거를 볼 때 단순수렵채집사회에 머물지 않고 사회복합성이 진전했음을 평가한 것이다. 복합수렵채집사회론은 한국 선사시대 사회의 성격 논의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개념은 본래풍부한 해양자원을 바탕으로 많은 인구와 사회 위계가 발달한, 기존 수렵채집사회라는 범주에 포괄하기 어려운 민족지 사례 연구를 위해 고안한 것이다. 이를 다시 선사시대까지 확장했지만, 개념 자체의 고고학적 타당성을 넘어 한국의 신석기시대에 적용하는 데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여러 무덤과 인골 자료 분석에서도 분화를 넘어 위계가 발달한 증거는 없다. 부장품의 불균형은성별 다양성에서 기인하며, 이는 수렵채집사회의 일반성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조와기장을 재배하고 농경구가 있으며 상당한 규모의 마을이 자리 잡았음에도 대부분 연구자는 신석기시대를 여전히 수렵채집사회의 맥락에서 접근한다. 식물재배가 생업의 중심을 차지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초기농경이라는 용어를 널리 쓰면서도 이동 수렵채집사회의 맥락에서 모델화하는 것은 모순일 수 있다. 복합수렵채집사회는 기존 고정된 사회형식과 단선적 문화진화의 틀에 적용하기 힘든 사례(변이)를 위한 개념으로, 선사시대에 거쳐야만 하는 단계가 아니다. 이것을 한국 선사시대까지 적용하는 것은 사회의 다양하고 역동적 모습을 그리는 데 적절한 모델이 되지 못한다. 그 대신 한국 신석기시대를 수렵과 채집, 어로, 그리고 농경에 이르기까지 여러 생계 활동이 어우러진 혼합경제, 그리고 내부의 긴장과 갈등을 해소할 기제와 공간, 외부와 체계적 교류네트워크를갖춘 ‘질서 있는 평등사회’의 맥락에서 이해하기를 제안한다. 그리하여 이동 수렵채집사회나 복합수렵채집사회라는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더 다양하고 역동적인 신석기시대 사회에 다가가는 모델과 해석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essay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Neolithic society in Korea as complex hunter-gatherers. While large scale settlements with 20 to 30, and even 60 subterranean houses are well recognized in the Neolithic Korea, many archaeologists still consider that the occupants were mainly hunters and gatherers. The concept of complex hunter-gatherers were originally proposed to denote large village societies with prominent social hierarchies relying on abundant marine resources, and some archaeologists extended its use to prehistory. Aside from the archaeological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itself, the Korean Neolithic archaeological record lacks critical elements of the complex hunter-gatherers. While the discuss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in the context of Korean Neolithic have opened the new theoretical landscape, it is true that many burials and associated goods, let alone habitations sites, do not suggest the development of social hierarchies. The characteristics of burial goods are consistent with sexual differences which is widely observable with most hunter-gatherers societies. Furthermore, many Korean Neolithic sites yielded evidence of broomcorn and foxtail millet domestication, which most archaeologists try to explain in the context of complementary subsistence activities still dominated by hunting and gathering. The existence of material evidence of plant domesticati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Neolithic people were not ‘typical’ hunter-gatherers, which begs further discussions of the role of domestication in the Neolithic and its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settled village lives. While the concept of the complex hunter-gatherers was coined to embrace cases that do not fit into the traditional hunter-gatherer society, it has become another stereotype that does not allow wide range of variability in prehistoric societies. Rather,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mixed economy or horticulture and dynamics of orderly egalitarian societies in the Neolithic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수렵채집사회론
Ⅲ. 복합수렵채집사회론
Ⅳ. 초기농경과 수렵채집사회론
Ⅴ. 움집과 마을, 그리고 이동성
Ⅵ. 복합수렵채집사회의 대안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춘택(Chuntaek Seong). (2023).한국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론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 41-68

MLA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론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2023): 4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