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소설과 근대소설을 통해 본 도시 형성기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

이용수 5

영문명
Modernity and Spatiality of Busan during the Urban Formation through New Novels and Modern Novels
발행기관
이상문학회
저자명
박은태(Eun-tae Park)
간행물 정보
『이상리뷰』20호, 157~1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산은 개항과 함께 만들어진 도시다. 부산의 초기 도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은 개항, 경부철도 개통과 관부연락선 취항, 일본의 식민지 병탄이다. 이 세 사건은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은 이 시기에 만들어진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을 신소설과 근대소설을 통해 살펴보았다. 신소설은 이인직의 『혈의 누』와 『귀의 성』, 최찬식의 『추월색』이 대상 작품이고, 근대소설은 염상섭의 『만세전』이 대상 작품이다. 『혈의 누』에서는 개항장 부산을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고 근대적 의미의 영토가 형성되는 장소로, 『귀의 성』과 『추월색』에서는 경부철도의 시발역과 종착역으로서의 부산을 한반도에 근대적 시공간을 형성하는 중심축으로, 『만세전』에서는 일제 강점이 시작된 이후의 부산을 식민 수탈과 침탈의 거점으로 그리고 있다. 대상 소설에는 각 시기마다 변화하는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도시 부산의 초기 근대성과 공간성의 윤곽과 함께 이것이 근대소설과 신소설에 남긴 서사적 영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Busan is a city created with the opening of a port. The event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ity in the early days of Busan were the opening of a port, the opening of the Gyeongbu Railway and the opening of the Gwanbu Liaison Line, and the annexation of Japanese colonies. These three ev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modernity and spatial formation of Busan. This thesis examined the modernity and spatiality of Busan created during this period through new novels and modern novels. The new novels include “Hyeorui Nu” by Lee In-jik, “Gwiui Seong” and “Chuwolchaek” by Choi Chan-sik, while the modern novels “Mansaejeon” by Yeom Sang-seop are the target works. In “Hyeorui Nu”, Busan, the port of opening, is a place where the medieval order is dismantled and the territory in the modern sense is formed, and in “Gwiui Seong” and “Chuwolchaek”, Busan, as the starting and ending stations of the Gyeongbu Railway, is the central axis for forming a modern time and sp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Mansaejeon”, Busan, after the start of Japanese occupation, is depicted as the base for colonial exploitation and exploitation. In the target novel, the modernity and spatiality of Busan, which change at each period, are well revealed.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outline of the early modernity and spatiality of the modern city of Busan, as well as the narrative impact that it left on modern novels and new novels.

목차

1. 서론
2. 근대 민족국가의 영토적 상상물, 부산: 『혈의 누』
3. 근대적 시공간의 중심 공간, 부산: 『귀의 성』, 『추월색』
4. 계몽의 서사가 해체되는 식민도시, 부산: 『만세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태(Eun-tae Park). (2023).신소설과 근대소설을 통해 본 도시 형성기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 이상리뷰, (), 157-184

MLA

박은태(Eun-tae Park). "신소설과 근대소설을 통해 본 도시 형성기 부산의 근대성과 공간성." 이상리뷰, (2023): 157-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