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인호 소설 『구멍』에 나타난 폭력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violence in Choi In-ho's novel 『Hole』
발행기관
이상문학회
저자명
김재경(Jae-Kyeong Kim)
간행물 정보
『이상리뷰』20호,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최인호의 소설 『구멍』에 나타난 폭력 양상을 살펴보고 최인호가 추구한 작품세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구멍』은 최인호가 역사·종교소설을 활발하게 창작하던 시기에 쓴 작품으로 작품 분류 시기상 특이한 지점에 있다. 작가의 시기별 작품 분류는 시기별 키워드를 통해서 작가의 문학세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나아가 시기별 작품과 상관없이 일관되게 추구한 유형이 있다면 작가의 작품세계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구멍』에서 주인공 그가 경험하는 폭력은 이 소설을 추동하는 핵심 모티프이다. 『구멍』에 나타난 폭력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국가 주도로 행해지는 폭력과 그 폭력을 모방하는 소시민의 폭력이다. 우선 2장에서는 1980년대 만연했던 국가폭력과 그에 대한 그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의사인 그는 휴일에 여유를 즐기기 위해 차를 몰고 거리로 나섰다 병원의 응급호출을 받는다. 병원으로 가는 도중 독재정권을 규탄하는 시위대와 그들을 저지하는 전투경찰의 폭력을 보게 된다. 전투경찰이 시위군중에게 행하는 폭력은 5·18 당시 광주 시민들을 무자비하게 유혈 진압했던 공수부대의 폭력 재현에 가깝다. 이는 5·18 당시 야만적이었던 신군부의 폭압성이 여전히 반복되는 시대임을 물리적, 가시적 폭력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는 도시에서 벌어지는 폭력을 접하며 국가폭력을 행하는 전투경찰뿐 아니라 동참을 권하는 시위대의 구호에도 거부감을 보인다. 독재권력의 횡포를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의 자세로 정치에 무관심한 그의 태도는 방관자적 소시민의 태도이다. 이어 등화관제 훈련요원의 제지로 또다시 진로를 차단당한다.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맹신하는 훈련요원들의 태도는 보도지침을 연상케한다. 알 권리의 비대칭은 시선의 비대칭으로 이어지는데 그는 등화관제 훈련으로 도시의 불빛이 명멸하는 것을 보며 독재자의 ‘시선’을 떠올린다. 그가 시스템 내재적인 폭력을 인식한 지점이다. 3장에서는 그가 가해자로서 폭력을 행하는 방식과 그 폭력 구조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는 구조적 폭력을 인식했음에도 국가가 아닌 자신보다 약자인 여성들에게 폭력을 가한다. 그의 행위는 수직폭력으로 피해를 크게 입을수록 수평폭력의 유혹에 빠지기 쉬운 예를 보여준다. 그는 차 안에서 거리 상점 안의 여성들을 훔쳐보며 대상화하고, 전시물처럼 품평화하는 시선의 폭력을 보인다. 그의 섹스파트너였던 선영에게는 포르노그래피 속 여성처럼 대상화하고 강등한다. 그의 시각쾌락증과 폭력을 겪으며 수치심을 느낀 선영이 그를 떠난 후 그도 대상화되는 수치심을 경험한다. 그는 선영에게 위로받고 싶어하고 때마침 선영에게 전화가 온다. 그런데 선영에게 걸려온 카폰 소리는 그에게 충격과 낯선 공포를 유발한다. 그가 차 안에서 들은 외부의 소리들은 시대상황을 전달하는 소통의 매개이자 정보확인을 위한 그의 의지에 의한 것이었다. 이와 달리 카폰 소리에 공포감을 갖는 이유는 국가폭력을 내면화해서 모방하고 있는 자신의 행위가 독재자가 설계한 폭력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에 대한 그의 감각적 반응이기 때문이다. “캄캄한 어둠의 거리만이 실존”이라는 결론에 이른 그는 선영과 재회를 실패할 수밖에 없다. 폭력 가해자의 반성적 사고 없이는 폭력이 치유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중첩되는 폭력 속에 그것을 은닉하기 위한 수단으로 희생양이 선택되는데 폭력 역학관계에서 가장 약자인 선영이 희생된다. 선영이 죽은 다음날 그는 차 안에서 자살한 채 발견된다. 그의 죽음은 독재정권이 국민들에게 행한 폭력을 방관하고 모방까지 했던 자신의 행위를 성찰, 각성 후 택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죽음은 극단적이지만 자살이라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독재정권을 부정하는 적극적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최인호 소설 속 주체들이 현실 문제와 존재 이유에 대해 성장곡선을 보이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구멍』의 구성요소 전반을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그리고 최인호 문학의 본령인 현대소설에서 일관되게 보여준 도시인과 실존의 문제를 폭력과 연관지어 확장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violence in Choi In-ho's novel 『Hole』 and attempted to confirm the world of Choi In-ho's work. 『Hole』 is at an unusual point in the classification of Choi In-ho's works. It is a work from a period when historical and religious novels were actively created. Classification of a writer's works by period is important because it serves as the basi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literary world through keywords by period. Furthermore, if there is a type pursued consistently regardless of the work of each period, it can serve as a basis for confirming the artist's world of work. The violence that the protagonist experiences in 『Hole』 is the core motif that drives this novel. There are two major aspects of violence shown in 『Hole』: violence committed by the state and violence by small citizens who imitate that violence. First,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state violence that was prevalent in the 1980s and his perception of it. He drives out into the streets to enjoy his day off and receives an emergency call from the hospital. On the way to the hospital, he see protesters denouncing the dictatorship and the violence of police forces stopping them. The violence committed by police forces against the crowd of protesters is close to replicating the violence of the airborne troops who mercilessly and bloody suppressed the citizens of Gwangju during the 5·18 Movement. This is an era in which the barbaric tyranny of the new military government at the time of 5·18 is still being repeated, expressed through physical and visible violence. He encounters the violence taking place in the cit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shows resistance not only to the police forces carrying out state violence but also to the slogans of the protesters who encourage him to participate. Despite experiencing the tyranny of dictatorial power, his unwavering attitude and indifference to politics is that of a passive citizen. Then, during the light control training, his path was blocked once again due to the restraint of the training personnel. The attitude of the training staff who blindly believe that something that is not exists is reminiscent of ‘reporting guidelines’. The asymmetry of the right to know leads to the asymmetry of gaze, and as he watches the city lights flicker due to blackout training, he is reminded of the ‘gaze’ of a dictator. This is the point where he recognized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system.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way he committed violence as a perpetrator an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at violence. Even though he recognizes structural violence, he inflicts violence not on the state but on women who are weaker than him. His actions show an example of how the more damage a person suffers from vertical violence, the easier it is to fall into the temptation of horizontal violence. He shows the violence of his gaze by peeking at women in street shops from his car, objectifying them, and classifying them as if they were objects on display.His sex partner, Seon-yeong, is objectified and demoted like a woman in pornography. After Seon-yeong, who felt shame due to his visual pleasure and violence, leaves him, he also experiences the shame of being objectified. He wants to be comforted by Seon-young, and just then he gets a phone call from Seon-young. However, the sound of the car phone that comes to Seonyoung causes him shock and unfamiliar fear. The external sounds he experienced in the car were a medium of communication that conveye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were sounds he heard with his will to confirm information. Feeling fear at the sound of a car phone is his sensuous response to the fact that his actions, which have internalized and imitated state violence, cannot escape the violent structure designed by the dictator. H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only the dark streets of darkness exist” and has no choice but to fail to reuni

목차

1. 들어가며
2. 소시민의 폭력 대응과 인식변화
3. 폭력의 시스템과 죽음을 통한 저항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경(Jae-Kyeong Kim). (2023).최인호 소설 『구멍』에 나타난 폭력 연구. 이상리뷰, (), 127-156

MLA

김재경(Jae-Kyeong Kim). "최인호 소설 『구멍』에 나타난 폭력 연구." 이상리뷰, (2023):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