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형법개정과 법률문장론

이용수 21

영문명
Criminal Law Reform and the Language of Legal Texts
발행기관
한국형사법학회
저자명
배종대(Jong Dae Bae)
간행물 정보
『형사법연구』제35권 제4호, 27~6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형법개정에서 법률 말이 왜 중요할까? 모름지기 법률 말은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간명한 언어여야 하기 때문이다. 형법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는 법률개념, 법률문장, 법률내용이다. 형법개정은 이 셋을 올바르게 바꾸어야 한다. 지금까지 형법개정은 주로 법률내용만 주목하고, 앞의 두 가지 법률 말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였다. 1953년 형법 입법자들은 당시 의용 되던 일본형법(구형법) 내용만 일부 손질하고 법률 말은 대부분 그대로 수용하였다. 그런데도 우리 형법은 지난 70년 동안 이 문제에 관한 근본 성찰, 반성을 하지 않아 어려운 한자어, 일본식 표현 등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2020년 법제처는 형법과 형사소송법 일부 조문을 이 취지에 맞게 개정하였다. 그러나 이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아 언제 나머지 과제가 완결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우리 형법에서 법률 말 문제에 관한 역사를 살펴보고, 해야 하는 이유와 목표를 다시 확인하여 일을 성과 있게 할 필요가 있다. 세종이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은 1443년이다. 그러나 그 꿈은 1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1426년 세종실록에 이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당시 통용되던 이두(한자를 우리 식으로 고친 표기체)가 어려워 백성이 금법(형법)을 몰라 생기는 폐단이 많다는 지적을 하였다. 이런 언급은 한글 창제 때까지 계속 나온다. 세종이 한글을 만든 주된 동기는 백성이 알기 쉬운 법률문장을 위한 것이었다. 그 방법은 소리글자인 한글 기능에 충실하면 된다. 한글의 ‘정음’이 ‘바른 소리’를 뜻한다는 점을 명심하고 말이 글자보다 앞서게 하면 백성이 알 수 있는 법률을 만들 수 있다. 세종의 한글 본성에서 보면, 어려운 한자어, 일본식 표현은 현대판 중국말이기 때문에 쓰면 안 된다. 법률개념은 우리 고유 말을 더 많이 찾아야 하고, 법률문장은 쉽게 써야 한다. 소리글자인 한글 기능에 맞게 글을 말하는 호흡처럼 짧게 써야 한다. 그렇게 하면 전체적으로 국민이 쉽게 알 수 있는 법률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이 법률문장론 핵심이다.

영문 초록

Legal language is very significant in criminal law reform because laws should be uncomplicated and sufficiently explicit for general comprehension. The three elements of criminal law are legal concepts, legal sentences, and legal contents. Although criminal law reform should rectify all three aspects accurately, amendments to the Republic of Korea’s criminal law have so far predominantly concentrated on legal contents,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first two language components. The legislators who drafted the 1953 Criminal Act largely adopted the vast majority of the text from the Japanese Penal Code (also known as the Old Penal Code) in force at the time since liberation from Imperial Japan, making only minor alterations. Unfortunately, Korea’s criminal law has not undergone any significant examination of this matter for the past 70 years. As a result, there remain remnants of intricate and arduous Kanji and Japanese-style phrases. To tackle these issues, in 2020,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mended certain articles of the Criminal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Nonetheless, there has not been thorough discussion in either academia or practice, and thus it remains uncertain when the outstanding tasks can be completed. For this reason, examining the historical discourse on the language used in Korea’s criminal law and reaffirming the objectives and functions of the legal text is necessary. In 1443, King Sejong created Hangul (Korean alphabet) by publishing a document titled “Hunminjeongeum (The Righ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However, his aspiration could be traced 17 years earlier, as documented in the Sejong Shilok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in 1426, in which he highlighted that the Yidu script, a reformulated Chinese character system utilized during that period, was excessively complicated, leading to general ignorance of prohibited acts under criminal law. Such concerns were continuously acknowledged until the eventual creation of Hangul. King Sejong's primary motivation for creating Hangul was to render legal texts more easily comprehensible for the general populace. Considering that Jungeum, the guiding principle behind the creation of Hangul, means ‘right sound,’ accessibility could be accomplished by prioritizing the spoken word over written script, thereby retaining Hangul's function as a phonetic script.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King Sejong's creation of Hangul, legal drafters should avoid archaic legal jargon that stem from Chinese characters and Japanese expressions because they are contemporary versions of the very Chinese script that King Sejong intended to replace. In this regard, the Korean legal community should establish Korean words for legal concepts and ensure that legal texts are presented in plain language. Given the phonetic nature of Hangul, using short and simple sentences similar to breathing patterns in natural speech enables the creation of laws written in legal texts that are easily accessible to the average layperson. This is the core principle of the legal writing theory that I aim to contribute in this article to the discussion concerning legal language.

목차

Ⅰ. 70년 된 말을 쓰는 형법
Ⅱ. 가도 가도 제자리
Ⅲ. 법률 개정 세 가지 요소
Ⅳ. 형법개정과 세종
Ⅴ.형법ㆍ형사소송법 다듬은 말 현황
Ⅵ. 법률문장론
Ⅶ. 이것만이라도 고칠 수 있으면
Ⅷ. 마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종대(Jong Dae Bae). (2023).형법개정과 법률문장론. 형사법연구, 35 (4), 27-64

MLA

배종대(Jong Dae Bae). "형법개정과 법률문장론." 형사법연구, 35.4(2023): 2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