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 수준
이용수 45
- 영문명
- Level of Value Relevance of General Holding Companies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공경태
- 간행물 정보
- 『전산회계연구』제21권 제3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국내에서 2021년 12월 말 기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168이고 2022년 12월 말 기준 일반지주회사는 114개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지주회사의 이익의 질이 공정거래법 지주회사보다 낮고 일반지주회사가 지주회사 설립․전환이후 이익의 질이 하락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지주회사의 이익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일반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일반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정거래법 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 수준과 일반지주회사의 지주회사 전환 전․후를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일반지주회사와 공정거래법 지주회사의 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의 수준을 상호 비교하였다. 둘째, 일반지주회사의 지주회사 전환 전과 후의 가치관련성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추가분석으로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하여 2SLS을 적용하여 본 분석의 결과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장 지주회사를 표본으로 선정한 결과, 기타 상장 지주회사는 16개, 공정거래법 지주회사는 47개로 연도별 표본수는 총63개이다. 연구기간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의무 도입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2년간으로 설정하여 총 기업-연도 관측치는 756개이다. [연구결과]실증분석 결과, 첫째, 일반지주회사의 주당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이 공정거래법 지주회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지주회사의 지주회사 전환 이후 주당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하락하였다. 셋째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하여 추가분석으로 2SLS를 적용한 결과도 본분석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일반지주회사에서 지배주주의 부의 이전 등 사적 목적에 의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으로 인한 이익의 질 하락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공정거래법의 관리를 받지 않는 일반지주회사에 대하여 지배주주의 이익조정 등으로 이익의 질이 하락하여 가치관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투자가들이 인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paper examines value relevance of holding companies out Monoplo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general holding companies). For this purpose, we compare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etween general holding companies and MRFTA holding companies and investigate change of value relevance after transition into holding companies respectively. [Methodology]Samples are selected among listed holdings companies from 2011 to 2022 and number of samples is 63 per year, which consist 16 holdings out MRFTA and 47 holdings in MRFTA per year, and 756 firm-year observations. [Findings]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lue relevance of general hoding companies is lower than that of MRFTA holding companies in terms of book per share(BPS). Second, value relevance of the general holding companies i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nsition into holding company in terms of earnings per share(EPS). Third, the result of 2SLS analysis is the same with those of the main analysis. [Implications]As the contribution of the precedent researches, this research examines value relavance of general holding companies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hasize low earnings quality in MRFTA holding companies is negative influence on value relevance of compan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 모형
Ⅳ. 실증분석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과 감사노력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소비자 지각된 가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기업의 스마트팩국내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수준과 직원 만족도토리 도입수준과 직원 만족도
- 자동차 부품업체의 TDABC 적용사례 연구
- 기업의 ESG 활동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일반지주회사의 가치관련성 수준
- 공매도 및 주식대차거래와 관련한 소득 과세
- 이익조정과 이사회 독립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매출변동에 따른 이익지속성과 재무지표의 가치관련성
- 경영자 능력이 사업위험에 미치는 영향
- 경영환경, 경영전략, 경영혁신이 전략적 MAS의 이용 및 MAP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orytelling Advertisement on Consumer Empathy and Persuasion: Focusing on the Chinese Consum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조직의 신뢰관계가 몰입과 만족도를 매개하여 역량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 학습을 매개하여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SG경영이 기업평판, 기업지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