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야구 소녀>가 야구하는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

이용수 6

영문명
How the Movie Represents Women Who Play Baseball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김지선 장승현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제34집, 133~1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중이 미디어 콘텐츠의 부족한 성인지 감수성을 지적하고, 페미니즘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는 이 시기에 등장한 영화 <야구 소녀>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여성 주인공을 재현하는 방식이 새롭고, 기존의 스포츠 영화와 차별화된다. 이 연구는 영화 <야구 소녀>가 여성 선수를 재현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야구하는 여성의 현실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스포츠 영화와 다른 <야구 소녀>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영화 <야구 소녀> 속 야구하는 여성의 재현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갈등: 노골적이거나 온정적이거나’이다. 영화 <야구 소녀>에서는 주인공 수인과 경합하는 경쟁자가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프로야구선수가 되지 못하는 상황과 주변인들의 편견 및 차별이 갈등 요소로 작용한다. 영화 속 몇 남성 인물은 전통적으로 규정된 ‘여성이 침범해서는 안 되는, 남성만의 스포츠로써의 야구’를 재확인하고 편견에 비롯한 차별을 행한다. 입학을 시켜 학교를 홍보하되, 이후의 상황엔 무관심한 학교도 마찬가지이다. 선수로 지원한 수인에게 직원의 지위를 제안하는 프로팀의 행위는 온정적 성차별주의적 태도이다. 둘째, ‘성장: 직구에서 변화구로’이다. 영화에서 강속구는 좋은 체격 및 근력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남성’을 표상한다. 이전까지 직구로 승부를 보려던 수인이 너클볼이라는 변화구를 선택하는 지점은, 남성 지배의 영역에서 똑같이 남성의 방식으로 대응하려다 그 방식을 바꾸고 성장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수인의 대응과 성장 과정에서 조력자의 위치는 이전까지의 스포츠 영화와 다르다. 상대적으로 악인(惡人)으로 그려지는 라이벌이 없고, 주인공이 절대적으로 의지하는 지도자도 없다. 수인의 성장은 주변인들과의 연대로 그려진다. 셋째, ‘또 다른 시작: 프로 2군에 입단’ 이다. 소극적이지만 분명한 여성 간 연대를 보여주면서, 또 비웃던 남성 선수들로부터 박수를 받으면서 수인은 트라이 아웃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낸다. 수인이 2군 리그에 입단하는 결말은 해피엔딩처럼 보이면서도 불안하다. 그러나 수인의 작은 성취가 ‘한국 여성 야구’의 새로운 시작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기존의 국내 스포츠 영화와 차별화되는 영화 <야구 소녀>의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여성이 주인공이다. 둘째, 민족주의,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다. 셋째, 가부장제에 부합하는 고정적 캐릭터가 없다. 이처럼 영화 <야구 소녀>는 그동안 스포츠 영화가 양산하던 왜곡된 보수적 성별 의식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ality of women playing baseball in Korea by analyzing the way the movie represents female players and sought to find out the meaning of . The representation of women playing baseball in the movie i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conflict: hostile sexism or benevolent sexism. In the movie , there is no competitor competing with the main character Su-in. However, the situation of not being able to become a professional baseball player and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those around him act as conflict factors. Several male characters in the film reaffirm the traditionally defined view of baseball as a male-only sport that women should not invade, and engage in discrimination, including prejudice. The same goes for schools that promote the school by allowing students to enroll, but are indifferent to the subsequent situation. The act of a professional team offering an employee position to a prisoner who applied to be a player is a benign sexist attitude. Second, growth: from a fastball to a breaking ball In the movie, a fastball represents a ‘man’ in that it comes from a good physique and strength. The point where Soo-in, who previously tried to win with a fastball, chooses a change-up ball called a knuckleball, is also the point where he changes his method and grows while trying to respond in the same male way in a male- dominated field. The position of the helper in the prisoner's response and growth process is different from previous sports movies. There are no rivals who are depicted as relatively evil people, and there is no leader whom the protagonist absolutely relies on. Suin's growth is depicted through solidarity with those around her. Third, new beginnings: as a professional second team player. Suin achieves satisfactory results in the tryout while passively but clearly showing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receiving applause from the male players who had ridiculed her. The ending of Suin joining the second-tier league seems like a happy ending, but it is also unsettling. However, Suin’s small achievement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new beginning for ‘Korean women’s baseball.’ Next, the meaning of , a movie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domestic sports movies, i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 woman is the main character. Second, it is free from nationalism and statist ideology. Third, there are no fixed characters that fit the patriarchal system. In this way, the movie is special in that it shows how to overcome the distorted conservative gender consciousness that sports movies have been producing.

목차

Ⅰ. 서론
Ⅱ. 영화 <야구 소녀> 속 야구하는 여성의 재현
Ⅲ. 영화 <야구 소녀>의 의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선,장승현. (2023).영화 <야구 소녀>가 야구하는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 젠더와 사회, (), 133-149

MLA

김지선,장승현. "영화 <야구 소녀>가 야구하는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 젠더와 사회, (2023): 133-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