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Community Experience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wenties and Thirties : Focu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Family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전은혜 최희경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제34집, 55~8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의 경험과 가족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대∼30대 1인 가구 청년 여성 7명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1인 가구 경험, 커뮤니티 경험, 가족 경험과 인식 등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독립을 위해 1인 가구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였으며, 자신의 성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경험을 한 후 여성 커뮤니티에 참여하였다. 여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새로운 친밀감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연대감과 안정감, 경험 공유와 존중, 실질적인 생활상의 도움을 주는 안전망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가 “친밀하지만 느슨한”새로운 의미의 가족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과의 갈등과 스트레스, 통제나 간섭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며 여전히 규범적이고 이상화된 가족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커뮤니티에서의 친밀한 유대감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경험을 통한 새로운 가족관계의 추구를 가족유연성과 대안가족의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mmunity experience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s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focu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family. Case stud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women. As results of the study, 3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ingle- person household, experiences of communitie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The participants autonomously chose the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means to pursuit their academic or work careers.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obbies as a way to satisfy their needs of self-actualization and build new relationships. They showed individualism that values a free individual life, but also showed an active aspect in forming or participating in groups for study or hobbies pursuing intimacy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In the female community,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identity of a woman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female community, or help them to move forward and stabilize themselves in the future when they are frustrated or have struggling, help them to move forward or stabilize in the future and help them stay in the presence. In addition, community members respect each other, share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 safely themselves as they are. The female communities can be viewed as a family in a broad sense with intimate but loose solidarity. These experiences was interpreted a process of re-establishing family concept.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which made them direct a new relationship of family adhering to a normative and ideal concept of family. In conclusion, the female communities that young females independently chose we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and flexible family further suggesting the need for social,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은혜,최희경. (2023).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젠더와 사회, (), 55-81

MLA

전은혜,최희경.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젠더와 사회, (2023): 5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