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서 김인후의 누정원림 문학공간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ture Space of Nujeong Garden by Kim In-hoo
발행기관
한국어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임우남(YUNAN REN)
간행물 정보
『한국어 교육 연구』제20호, 257~28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김인후가 누정원림 문학공간에서 창작한 시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공간 인식이 누정원림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김인후는 평생에 걸쳐 70여 곳의 누정원림을 배경으로 하여 300여 수의 누정시를 창작하였는데, 이 중에서 광주, 담양, 장성지역의 누정원림과 관련된 시는 150여 수에 이른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광주, 담양, 장성 세 지역의 누정원림은 김인후 문학 창작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는 낙향하여 장성에 은거한 후에 호남시단의 중심지였던 광주, 담양 누정원림을 수시로 찾아가 머물기도 하였다. 광주지역의 풍영정은 김인후에게 자연 풍류를 즐기고 순정한 정감을 표현하는 공간이 되었다. 또한 환벽당은 김인후에게 심신을 수양하고 자아 성정을 함양하는 공간이 되기도 하였다. 그는 광주지역의 풍영정과 환벽당에서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한편 아름다운 자연을 누리면서 거기에서 느끼는 흥취를 시에 담아 미적으로 형상화하는 문학적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김인후는 담양지역의 소쇄원이나 면앙정 누정원림에서 유유자적하며, 은둔자락(隱遁自樂) 하고자 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시를 통하여 형상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는 소쇄원과 면앙정을 단순한 자연 공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세속과 분리된 탈속적인 공간으로 보고, 그 속에서 은거하는 즐거움을 형상화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호남시단에서 창작한 문학에서 볼 수 있는 집단적 풍류객으로서, 누정원림을 자연에 의탁하여 살아가는 자신의 은둔처로 생각했던 김인후의 공간 인식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김인후는 장성지역의 누정원림이라는 공간에서 고향의 아름다운 산수를 즐기는 풍류를 넘어서서 부모에 대한 효심을 형상화하는 공간으로 승화해 갔다는 점은 김인후 누정원림 문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고향 산천인 장성지역은 그에게 관직에서 지친 몸을 이끌고 돌아와 최종적으로 의탁하고 살아가야 할 생활 터전이었다. 김인후가 장성지역에서 창작한 시는 담양지역 누정원림에서 보여주는 풍류객으로서 자연을 대하면서 창작한 시와는 분명히 내면적인 인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누정원림이라는 문학적 공간을 대하는 김인후의 인식이 그의 시속에 어떻게 응축되어 나타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김인후의 누정원림 경관을 읊은 시에 드러난 공간 인식을 찾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지역 누정원림의 특성에 따라 김인후가 추구했던 삶의 모습을 파악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Kim In-hoo's spatial perception was embodied in Nujeong Garden Forest through an analysis of Nujeong Garden Forests created in Gwangju, Damyang, and Jangseong in Gwangju and Jeonnam. Kim In-hoo often visited Gwangju and Damyang Nujeong Garden Forest, the center of Honam City,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and living in Jangseong. It can be seen that the Pungyeongjeong Pavilion in the Gwangju area became a space for Kim In-hoo to enjoy natural customs and express pure emotions. In addition, it could be considered that Hwanbyeokdang became a space for Kim In-hoo to cultivate his mind and body and self-sacrifice. Kim In-hoo reflected on his inner self in Pungyeongjeong and Hwanbyeokdang, while expressing the excitement felt there while enjoying beautiful nature in a poem. Next, Kim In-hoo focused on embodying the appearance of scholars who wanted to become a reclusive self-developed by relaxing in Soswawon or Nujeongwonrim in Myeonangjeong in Damyang area. Kim In-hoo was able to consider Kim In-hoo's spatial perception, which embodies the joy of living in Soswawon and Myeonangjeong, not just as a natural space, but as a secular space separated from the world. Finally, Kim In-hoo's sublimation from a space called Nujeong Garden Forest in Jangseong to a space that embodies filial piety for parents beyond the traditional style of enjoying the beautiful mountains of his hometown is a characteristic of Kim In-hoo's Nujeong Garden Forest literature. Jangseong area, his hometown, was a place of living where he had to return with his exhausted body from his public office and finally commission and live.

목차

1. 서론
2. 김인후의 누정원림 문학과 활동
3. 김인후의 주요 누정원림 문학공간
4. 김인후의 주요 누정원림 문학공간 인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우남(YUNAN REN). (2023).하서 김인후의 누정원림 문학공간 연구. 한국어 교육 연구, (), 257-282

MLA

임우남(YUNAN REN). "하서 김인후의 누정원림 문학공간 연구." 한국어 교육 연구, (2023): 257-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