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시대 영문법 교육의 방향성과 AI와의 연계성 탐색
이용수 70
- 영문명
- English grammar and AI: An exploration of directionality and association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명(Yong-Myeong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5권 4호, 157~1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wo questions: How should English grammar education evolve in the age of AI? How should English grammar and AI be coupled in the age of AI? As a possibl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it proposes that English grammar education should evolve from the knowledgeization of grammatical rules related to S(small)-grammar to the intuitionization of grammatical systems related to L(large)-grammar. In alignment with this, it suggests a kind of linguistic intuition on tense/aspect systems: tense system has ‘factuality with the semantic feature [+fact] ,’ progressive aspect has ‘ongoingness with the feature [+ongoing],’ and perfect aspect has ‘relevance with the feature [+relevant] ’. This will allow learners to discern the differences and contrasts between the tense/aspect systems, thereby developing their own ‘feel’ for each grammatical system in terms of when and why to choose which tense or aspect in actual language use. For the second question, it suggests coupling the knowledgeization of grammatical rules with AI and decoupling the intuitionization of grammatical systems from AI, in light of the possibility of AI replacing the teaching of English grammar, as well as learners’ over-reliance on AI and the risk of AI-induced hallucinations resulting in incorrect information. (199 word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문법 규칙의 지식화와 문법 체계의 직관화
Ⅳ. 언어 사용에 직관화의 적용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영어 글쓰기 활동 효과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Human Raters and ChatGPT in L2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 Clausal and Phrasal Complexities in Nonnative Writers’ English Composition: A Comparative Analysis
- An Exploratory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on Class Activities in an English Writing Course
-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to Explore Korean English Teachers’ Transparency
- Exploring College Students’ Expectations, Satisfaction, and Perceived Improvements by Gender, Major and Academic Year towards EMI Writing Course in a Korean University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언어, 사회/문화 정체성과 영어 폐쇄음 발화 VOT 관련 연구
- 온라인 교양 연계 비교과 영어프로그램의 효과
- 미국 초등학교 학생 대상 한국문화소개 수업 효과에 대한 연구
- AI 시대 영문법 교육의 방향성과 AI와의 연계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