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층의 스트레스 군집유형에 따른 코로나19 전후 여가활동유형 차이
이용수 125
- 영문명
-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Types before and after COVID-19 according to the Stress Cluster Types of Youth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한애리(Ae Ri Han)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9권 제3호, 143~1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최근 지속된 경기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취업난에 급격한 물가상승까지 더해져 청년들의 심리적 혼란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청년들의 스트레스 해소방안으로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여가활동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사회경제상황에 따라 다른 수준의 스트레스 보이는 청년들의 스트레스 유형을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군집유형에 따라 코로나 19 전후 여가활동유형의 차이를 검증하여 청년들의 삶의 맥락을 이해하고 개별적이고 맞춤화된 스트레스 관리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EEP) 3차년도 및 4차년도 본 조사와 부가조사에 응답한 대학생 7,278명을 대상으로 K-means 군집분석, 대응표본T검정 및 χ2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당면과제와 대인관계 중심으로 세 가지 군집으로 나뉘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불특정 다수의 활용이 높거나 s대면접촉이 높은 여가활동의 빈도가 유의하게 줄어들었고, 개인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가활동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군집유형에서 운동에 대한 참여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취업여부, 월소득, 현재학력에 따라 이 세 가지 유형의 분포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제공함에 있어 각 유형별로 적절한 처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In addition to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and employment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rapid inflation is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confusion and difficulties of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young people's lives and obtain implications for preparing individual and customized stress management plans by deriving stress types of young people showing different levels of stres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socio-economic situ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types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o this end, 7,278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main and supplementary surveys in the 3rd and 4th years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I (KEEP) were subjected to K-means cluster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and χ2 test.
Result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focusing on immediate task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are sub-factors of stress. In addition, due to COVID-19,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that were highly utiliz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had high face-to-face contact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that could personally particip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luster types with low stress level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se three typ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mployment status, monthly income, and current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ppropriate prescriptions were proposed for each type in providing individualized stress management measur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9권 제3호 목차
- 백두산 관광객 환경책임행동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 인구소멸시대 농촌축제를 통한 지역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 소셜미디어를 통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웰니스관광에 대한 인식 변화
- 소셜미디어 품질이 긍정적 감정,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한 관광객의 스마트관광앱 수용저항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축제 선택 속성, 만족도, 재방문 의도
- 청년층의 스트레스 군집유형에 따른 코로나19 전후 여가활동유형 차이
- OTA 호텔 구매자의 지각된 위험이 신뢰 및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 <버킷리스트>를 통해 본 액티브 시니어와 웰다잉 고찰
- 여행가이드의 역사유적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이 여행객만족과 장소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관광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